아시아나·에어서울, 1년새 항공안전성 2단계 강등

아시아나항공과 에어서울이 항공 운송 서비스 평가 안전성 부문에서 지난해 보다 평가 등급이 2단계 강등되며 국내 항공사 중 가장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국적 항공사 정시성은 대부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 보호 부문에서 에어부산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진행하는 이 평가는 ▲ 정시성 ▲ 안전성 ▲ 소비자 보호 충실성 ▲ 공항서비스 등 정량평가와 이용자만족도 정성평가로 이뤄졌다. 국내 항공사만 놓고 보면, 국제선 정시성 부문에서 모든 항공사가 A등급(매우우수)을 받았고, 국내선 정시성은 모두 B등급(우수)을 받았다.안전성 부문에서는 희비가 엇갈렸다. 에어부산과 티웨이항공이 A등급을 받아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고, 대한항공·이스타항공·제주항공·진에어가 B등급을 받았다. 아시아나항공과 에어서울은 C등급(보통)으로 가장 낮은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두 항공사는 전년(2016∼2017년) 평가에서는 A등급이었다가 1년 사이 등급이 두 계단이나 떨어져 안전 분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평가에서 안전성은 항공사 사고율, 안전 관련 과징금 및 항공종사자 처분 건수, 항공사 안전문화 등을 종합해 등급을 산출했다. 소비자 보호 부문에서는 대한항공·에어서울·이스타항공·진에어·티웨이항공이 A등급을, 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이 B등급을 받았다.에어부산은 가장 저조한 미흡(D등급)을 받았다. 이는 작년 11월 발생한 ‘기내 장시간 대기 사태’로 인해 과태료를 부과받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공항서비스 평가에서는 국내 대부분 공항이 수속절차 신속성이나 수하물처리 정확성 부문에서 A등급을 받았다. 공항이용 편리성 부문에서는 인천공항이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았고, 김포·김해·제주공항은 B등급, 청주·대구공항은 C등급에 그쳤다.
한편,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2018년에 안전 이슈 관련한 행정 처분이 몰리면서 안전성 평가에 크게 영향을 미쳤지만, 2019년 정비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a350,a321neo 등 신기재를 지속적으로 도입, 안전성을 강화해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중"이라고 밝혔다. /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옴니씨앤에스, 한영대와 뇌파기반 정신건강 콘텐츠개발 MOU
- MBK 김병주 국감발언에 여권 ‘분노’…김병기 “입법부 우습나”
- 마리아병원-KB국민은행, '난임 치료 지원' 위한 MOU 체결
- 양재살롱위크, 무브컬쳐와 양재천길을 ‘취향의 거리’로
- 스텔란티스, 100년 역사상 美 최대 투자…130억 달러 쏟는다
- 플럼바고 양양, 초고층 생활숙박시설 막바지 분양중
- MYSC, 한국 스타트업 6개사와 일본 후쿠오카서 글로벌 진출 교두보 마련
- 앨리스헬스케어, 美 최대 의료혁신 컨퍼런스 ‘HLTH 2025’ 참가
- EBS '위캔버스', 독도의 날 맞아 독도 교육 이벤트…"경품 증정"
- 홈버튼, 안양도시공사와 공공 임대관리 디지털 전환 협약 체결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옴니씨앤에스, 한영대와 뇌파기반 정신건강 콘텐츠개발 MOU
- 2나노실리칸첨단소재, 21일 기업설명회 개최
- 3MBK 김병주 국감발언에 여권 ‘분노’…김병기 “입법부 우습나”
- 4사토시홀딩스 “양자암호 적용 ‘K-드론 킬 체인’ 개발”
- 5엔에스이엔엠, 허성태 주연 영화 '정보원' 12월 개봉
- 6광해광업공단, 스마트마이닝 기술세미나 개최
- 7마리아병원-KB국민은행, '난임 치료 지원' 위한 MOU 체결
- 8춘천시 “도청사 교통영향평가 정당한 절차… 3자 실무협의체 구성 제안”
- 9씨엑스아이 "앤서가든 중국 총판 계약 체결"
- 10아우딘퓨쳐스 네오젠, 美 뉴욕 타임스퀘어 행사서 제품 전량 완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