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계 찬바람에…활개치는 불법 사금융

[앵커]
정부가 법정 최고 금리를 인하하면서 서민에게 고리 장사를 하고 있는 대부업 시장이 쪼그라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냥 좋아할 일이 아니라고 합니다. 대부업 시장이 줄어들면서 불법 사금융 시장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이아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국내 대부업 1위 업체 ‘산와대부’
지난해부터 지점 몇 개를 하나로 통합시키며 규모를 줄이더니, 올해 3월에는 대구와 구미 지점을 폐점했습니다.
3월 1일부터는 신규대출도 중단됐습니다.
기존 대출 고객분만 소화하고 새 고객을 받지 않겠다는 것, 사실상 대출 영업을 접겠다는 겁니다.
대부업계 관계자들은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부업체 입장에서, 24% 법정 최고금리를 맞추면 역마진까지 감수해야 한다”고 하소연합니다.
은행보다 대출 상환율이 낮은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대부업체들.
신용등급이 낮은 고객, 즉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는 돈을 대출해주는 대신 높은 금리를 매겨 손실을 메꿨는데 현행 24% 최고금리로 대출해줘서는 회사 운영이 어렵다는 겁니다.
실제로 신용대출 취급사 중 자본금이 1억원 이상 되는 대부업체는 지난해 69개사로, 2016년 101개사에서 2년 만에 32개사가 사라졌습니다.
대부업체의 대출잔액도 줄고 있습니다.
오늘 금융당국이 발표한 ‘2018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업자의 대출잔액은 지난해 말 약 17조 3,000억원.
6개월 전보다 1,000억 가까이 줄었습니다.
반대로 불법 사금융 시장은 활황입니다.
금융감독원 ‘불법사금융피해신고센터’에 신고된 미등록대부업체는 지난해 3,000건.
3년 새 2배 넘게 급증한 수치인데, 신고가 되지 않은 업체까지 감안 하면 증가 폭은 훨씬 클 것으로 업계는 파악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서민금융원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사를 찾은 20대 절반은 대출 거절을 받았는데 이 중 10% 가까이는 결국 불법 업체를 통해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가 선심쓰듯 최고 금리를 낮추는 사이에 대부업체에서도 돈을 못빌리게 된 서민들이 불법 사금융업체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김담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전국화 과제' iM뱅크, 포스트 황병우 시대 열리나
- MBK 중징계 직격탄…롯데카드, 대주주 리스크 고조
- '고환율 쇼크'에 외국인 엑소더스…개미는 '저가 매수'
- 농협중앙회, 임원 내부통제 관리책임 체제 도입 추진
- KB금융, 독립유공자 후손 소상공인 대상 '명예를 품은 가게' 2호점 현판식 개최
- iM금융지주, 규범준수경영시스템 ISO37301 인증 획득
- 알펜시아 리조트 ‘스키700’, 내달 4일 개장
- NH농협은행 "내년 녹색·전환금융 추진 활성화, 공시이행 역량 강화"
- 범농협, 22만명 연체 정보 삭제…"신용사면 통한 포용금융 시행"
- 수출입銀, 셀트리온 미국 생산시설 M&A 3500억원 지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S그룹 3세’ 구동휘 사장 승진…‘조직 안정’ 인사
- 2K-원전 ‘중동 넘어 유럽’…튀르키예 30兆 시장 열렸다
- 3'전국화 과제' iM뱅크, 포스트 황병우 시대 열리나
- 4MBK 중징계 직격탄…롯데카드, 대주주 리스크 고조
- 5“배달앱 가격은 점주마음”…교촌치킨, ‘책임 회피’ 도마
- 6전기차 20만대 시대…제네시스·BMW 등 신차 ‘봇물’
- 7'고환율 쇼크'에 외국인 엑소더스…개미는 '저가 매수'
- 8삼성전기 장덕현, ‘그릿 리더십’…‘1조 클럽’ 청신호
- 9제네릭 약가 인하에 업계 반발…“R&D 타격 불가피”
- 10삼성전자, 5년만 임원인사 확대…AI·로봇 인재 중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