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3주 연속 상승…오름폭은 ‘주춤’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예고한 가운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지난주보다 둔화했다. 1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5일 조사 기준 서울 주간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01% 올랐다. 이달 들어 3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으나 지난주(0.02%)에 비해 오름폭은 줄었다.
최근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의지를 밝힌 이후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끊기고, 호가가 하락하는 등 상승세가 주춤한 분위기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잠실 주공5단지, 반포 주공1·2·4주구(주택지구) 등 주요 재건축 추진 단지는 금주 들어 3,000만∼1억원 이상 호가를 낮춘 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매수세가 붙지 않는다. 강동구의 아파트값이 0.01% 오르며 37주 만에 상승 전환했으나 분양가 상한제의 영향력이 큰 강남(0.04%)·서초구(0.02%) 등은 지난주보다 오름폭이 다소 줄었다. 지난주 0.05% 올랐던 양천구도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등지의 매수세가 위축되며 금주 조사에선 상승폭이 0.02%로 감소했다.
경기도의 아파트값은 지난주에 이어 0.01% 하락했다. 안성(-0.41%)·평택(-0.34%) 등지가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약세가 지속했고 고양시(-0.08%)와 일산서구(-0.12%)·일산동구(-0.07%), 안양 동안구(-0.01%) 등지도 가격이 내렸다. 최근 교통망 신설 호재로 아파트값이 강세로 돌아선 광명시는 이번주 조사에서 0.27% 올랐으나 지난주(0.38%)보다는 상승폭이 축소됐다. 하남시도 구도심과 위례신도시 등에서 급매물이 팔리며 0.24% 상승했다. 과천시는 지난주에 이어 0.23%의 오름폭을 유지했다.
지방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7% 하락했으나 대전은 0.11% 올라 지난주(0.05%)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지방 광역시·도를 통틀어 유일하게 상승했다. 정비사업 호재, 학군수요 등으로 대전 서구(0.18%)와 유성구(0.14%) 등지의 가격이 계속해서 강세다. 이에 비해 부산의 아파트값은 0.09% 하락해 지난주(-0.7%)보다 낙폭이 커졌고 대구(-0.04%)와 광주광역시(-0.05%)도 하락세가 이어졌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2% 오르며 지난주(0.01%)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재건축 단지 이주와 방학 이사수요 증가로 서초구가 0.12% 올랐고 강남구도 0.06% 상승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서울시내 자율형사립고 8곳이 취소되는 등 자사고·특목고에 대한 정책 변화로 인해 한동안 감소세를 보이던 강남지역 전세 수요가 다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동반위-롯데리아, 진해중앙시장부터 상생캠페인 전개
- 중진공, 해외법인지원자금 첫 공급…글로벌화 지원
- 중기부, 인도 정부와 상호협력 방안 논의
- 대한상의 "美 상호관세 부과 관련 산업계 부담 최소화 도울 것"
-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 토허제 1년 더 연장
-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유가는 하락
- SNP 프렙, 다이소 '하이드로겔 아이패치' 론칭 후 '1위' 기록
- CU, 업계 최초 38개 언어 ‘AI 통역 서비스’ 도입
- 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서 가격 인상 계획 없어"…관세영향 평가 중
- 퀸잇, ‘2025 럭퀸세일 페스타’ 진행…4050세대 공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