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세 꺾인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거래도 멈췄다

[앵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을 예고한 가운데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폭이 확 꺾인 모습입니다. 집값이 떨어지자 매매도 확연히 줄어들고 있는데요. 사려는 사람도, 팔려는 사람도 버티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아라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열흘 전까지만 해도 서울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3%까지 치솟았습니다.
상승률이 미미했던 5월과 비교하면 크게 오른 겁니다.
하지만 정부가 민간택지에도 분양가상한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후 상승세는 꺾였습니다.
업계에선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은 재건축 단지에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은진 / 부동산114 팀장
“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도입으로) 일반 분양가를 높게 책정할 수 없으면, 조합에 추가 부담금이라던가 건설사에 이익이 그만큼 줄어드는 거라…”
상황이 이렇자 서울 재건축 매매거래도 크게 줄었습니다.
준공 30년 이상 된 재건축 대상 아파트 거래량을 집계해보니 5월엔 1,070건, 6월엔 723건이었던 게, 이달엔 81건에 그쳤습니다.
[인터뷰] 권일 /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
“(재건축 단지를) 갖고 계셨던 분들이 시장의 변화 혹은 선거의 결과라든지 이런 부분들 때문에 잠재됐던 수요들이 다시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올 상반기 중에 검증됐기 때문에, 가격을 크게 낮춘다거나 시세보다 싸게 내놓는다거나 이럴 가능성도 역시 낮아졌어요. 당장 (거래를) 못한다면 버티기를 들어가는 거죠.”
시기의 문제이지 분양가상한제를 도입한다는 건 기정사실인 상황에서 당분간 매매 가격과 거래량은 보합을 나타낼 것이란 얘깁니다.
업계에선 최소 내년 총선까지는 이 같은 상황은 이어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동반위-롯데리아, 진해중앙시장부터 상생캠페인 전개
- 중진공, 해외법인지원자금 첫 공급…글로벌화 지원
- 중기부, 인도 정부와 상호협력 방안 논의
- 대한상의 "美 상호관세 부과 관련 산업계 부담 최소화 도울 것"
-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 토허제 1년 더 연장
-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유가는 하락
- SNP 프렙, 다이소 '하이드로겔 아이패치' 론칭 후 '1위' 기록
- CU, 업계 최초 38개 언어 ‘AI 통역 서비스’ 도입
- 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서 가격 인상 계획 없어"…관세영향 평가 중
- 퀸잇, ‘2025 럭퀸세일 페스타’ 진행…4050세대 공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