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8주 연속 오름세…강동구 0.33%↑

서울 아파트값이 8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09% 상승했다. 지난주(0.08%)보다 오름폭이 소폭 커졌다. 재건축 아파트가 0.14%, 일반 아파트는 0.09%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23곳이 상승했고, 2곳(성동, 은평)만 보합을 기록했다. △강동(0.33%) △송파(0.21%) △강남(0.16%) △동대문(0.11%) △서대문(0.11%) △구로(0.09%) △성북(0.08%) △중랑(0.07%) 등의 순으로 상승했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서울은 비교적 새 아파트인 재고주택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확대하는 분위기다”며 “수요자가 제도 시행 후 서울 도심 주택 공급이 쉽지 않으리라 보면서 재고주택 선점에 나서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강동은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대폭 늘어날 예정이지만, 분양가상한제 확대 시행을 앞두고 재고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다. 고덕동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가 최고 3,000만원, 암사동 ‘롯데캐슬 퍼스트’가 2,500만원까지 올랐다.
신도시 아파트값은 보합(0.00%)을 나타냈다. △위례(0.06%) △분당(0.02%) 등은 상승했고, △김포한강(-0.08%) △평촌(-0.02%) △일산(-0.02%) 등은 하락했다. 김포한강은 장기동 ‘수정마을 쌍용예가’가 500만원 떨어졌고, 평촌은 호계동 ‘목련 대우·선경’이 500만원 내렸다.
경기·인천도 변동이 없었다. △오산(-0.13%) △평택(-0.11%) △안성(-0.08%) △시흥(-0.07%) △이천(-0.05%) △양주(-0.04%) 등 외곽 지역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서울과 가까운 △광명(0.10%) △의왕(0.07%) △부천(0.06%) △성남(0.05%) 등은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2% 올랐다. 몇몇 지역이 오름세를 이끌었다. △강동(0.13%) △강서(0.12%) △은평(0.06%) △성동(0.05%) △송파(0.04%) △서초(0.03%) △중랑(0.02%) 순으로 상승했다. 강동은 대규모 입주 영향으로 빠졌던 전세금이 회복세를 보이며, 고덕동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가 2,500만~3,000만원 올랐다.
신도시는 0.01% 상승했다. △평촌(0.06%) △동탄(0.04%) △분당(0.02%) 등은 상승했지만 △일산(-0.05%) △산본(-0.05%)은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0.02% 떨어졌다. △시흥(-0.15%) △오산(-0.14%) △화성(-0.14%) △군포(-0.13%) △남양주(-0.11%) △구리(-0.08%) 순으로 내렸다. 반면 △의왕(0.12%) △안양(0.08%) △광명(0.07%) 등은 올랐다.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정작 서울을 제외한 지역들을 중심으로 수요층 이탈이 심화하는 분위기”라며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에 더해 서울의 주택 공급 확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