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산업 매출, 수도권에 85% 집중
김수민 "수도권-비수도권 문화양극화, 경제양극화로 이어질 가능성 있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문화콘텐츠산업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음악, 영화, 방송, 광고, 만화, 출판,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 사업의 전국매출액에서 서울이 차지하는 비중은 64.1%,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20.9%로 수도권에서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콘텐츠 사업체의 60% 이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집중돼 있고, 업계 종사자도 51.4%가 서울, 20.7%가 경기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콘텐츠 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을 살펴보면, 2017년도 전국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도 대비 6.7% 증가한 113조2165억원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2조4000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국 매출의 64%를 차지했고, 경기도가 23조6000억원의 매출을 올려 20.9%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지역의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은 미미한 수준이다. 전남이 전체매출 대비 0.4%로 가장 낮았고, 강원이 전체매출 대비 0.5%, 충북과 충남도 각각 0.8%에 불과했다.
서울 경기와 그 밖의 지역의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은 사업체가 서울 경기에 몰려있기 때문이라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문체부와 콘진원이 제출한 '문화콘텐츠 산업 지역별 사업체 수 현황'자료를 보면, 서울의 경우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 방송,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등 콘텐츠사업체 수가 3만4440개로 전체의 32.7%를, 경기도는 2만307개로 19.3%를 차지했다.
사업체 수는 제주도가 가장 적었다. 1045개 사업체가 있는 제주도는 전체의 1%를 차지했다. 전북과 전남이 각각 2.8%와 2.5%, 충북과 충남이 2.7%와 3%를 차지했다.
종사자 역시 서울 경기에 몰려있었다. '콘텐츠산업 지역별 종사자 현황'을 보면 서울에서 31만4천명 전국대비 51.4%가, 경기도에 12만5000명 20.6%가 근무하고 있었다. 반면 제주도에는 4439명(0.7%), 전남 6608명(1.1%), 충북 8333명(1.4%)의 콘텐츠 산업 종사자들이 일하고 있었다.
김수민 의원은 "4차산업혁명시대 우리나라 먹거리 산업 분야가 문화콘텐츠인데, 서울과 경기도에만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어 지방과의 문화 양극화가 경제 양극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신속하게 수립해서 대응에 나서야한다"고 강조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샘, 식목일 기념 시흥시 ‘행복의숲’ 조성 참여
- 2알록·두산베어스 스폰서십 체결…홈 경기 ‘댄스 배틀’ 개최
- 3푸마, '청백적 프로모션' 진행…"수원삼성 팬들에 보답"
- 4포르쉐코리아, 경상도 산불 피해 복구에 2억2000만 원 기부
- 5HD현대, 美 AI 방산기업 안두릴과 무인함정 개발 맞손
- 6키움증권, 이틀째 시스템 오류…주식매매 주문 지연
- 7셀트리온, 유플라이마 상호교환성 임상 3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 8전남도, 전국체육축전 성공 개최…시장·군수 릴레이
- 9한국타이어, 獨 아우토 빌트 타이어 테스트 최우수 등급
- 10여수 원더라움 더힐,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공급 예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