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이후 아파트 부정청약 734건 적발…"청약취소는 10% 불과"

최근 1년 반 동안 부정청약으로 적발된 건수가 무려 73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토교통부가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에게 제출한 ‘최근 2년간 아파트 부정청약 현황’자료에 따르면 2018~2019년 8월 기준 국토부는 부정청약 의심사례로 2018년 609건, 2019년 8개월간 125건, 총 734건을 적발하고 수사의뢰를 한 상황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13건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167건, 서울 46건, 대구 35건 순이다. 경기도의 경우 하남(37건), 광명(2건), 분당(5건) 등 투기과열지구를 중심으로 많은 부정청약이 적발되었으며, 최근 분양 브로커가 검거된 부산과 전 자치구가 투기과열지구인 서울, 수성구의 대구 또한 부정 의심사례가 적지 않았다.
서울에서 부정청약이 적발된 주요 단지를 살펴보면 영등포의 보라매 SK뷰가 1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송파 헬리오시티 6명, 동작 흑석아크로리버하임 5명,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2명 등‘로또 청약’ 또는 고분양가 단지들이 주를 이루었다.
한편, 부정청약 적발 건 중 취소건수는 10건 중 1건 정도에 불과했다. 2018년 609건 중 60건, 2019년 125건 중 9건의 계약이 취소됐다. 수사의뢰, 소명청취, 법원재판 등으로 계약 취소에 기일이 걸린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김상훈 의원은 “당시 서울 및 일부 대도시를 중심으로 집값이 대폭 상승하면서, 소위 ‘로또 단지’에 당첨되기 위한 불법·탈법적 시도 또한 크게 늘었다”고 지적하고, “위장전입, 대리청약, 허위 소득·출생신고 위조 등 수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만큼 관계부처는 선제적 부정청약 방지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국토부, 공공주택사업자 대상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
- LG 에이머스 해커톤 개최…“AI 개발로 난임 치료 돕는다”
- 쿠팡, PB 납품 중소협력사 630곳 늘어…고용인원 2만7000명
- 한화비전, 북미 최대 보안 전시회 'ISC 웨스트' 참가
- 삼성전자, '공급망 인권 관리' 부문 글로벌 ICT 기업 1위 차지
- 韓조선 R&D 투자 최근 6년 연속 확대
- 고환율 지속에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공사비 상승 가능성
- 동남아 덮친 트럼프발 상호관세에 전자 부품업계 초긴장
- 거세지는 식품·외식 물가 상승세…가격인상 주춤해질까
- 경기 침체 장기화로 직격탄 맞은 유통업계…부도확산 우려까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토부, 공공주택사업자 대상 특화 공공임대주택 공모
- 2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3LG 에이머스 해커톤 개최…“AI 개발로 난임 치료 돕는다”
- 4쿠팡, PB 납품 중소협력사 630곳 늘어…고용인원 2만7000명
- 5한화비전, 북미 최대 보안 전시회 'ISC 웨스트' 참가
- 6삼성전자, '공급망 인권 관리' 부문 글로벌 ICT 기업 1위 차지
- 7韓조선 R&D 투자 최근 6년 연속 확대
- 8고환율 지속에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공사비 상승 가능성
- 9동남아 덮친 트럼프발 상호관세에 전자 부품업계 초긴장
- 10거세지는 식품·외식 물가 상승세…가격인상 주춤해질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