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양극화 심화…"상위 0.1%가 하위 27%만큼 번다"

상위 0.1%가 하위 27%만큼 벌고, 상위 0.1%와 중위 소득자 간 격차가 무려 64배까지 벌어지며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이 국세청의 '2017 귀속연도 통합소득 천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위 0.1% 소득자 2만2,482명의 평균소득은 1인당 14억7,400만원, 중위 소득은 2,301만원으로 나타났다. 상위 0.1% 소득자가 중위소득의 64배를 번 셈이다.
통합소득은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을 합친 것으로 근로소득자와 자영업자 등 개인의 전체 소득을 의미한다. 통합소득 상위 0.1%의 1인당 연평균소득은 14억7,400만원으로 근로소득 상위 0.1%의 1인당 연평균 근로소득인 8억871만원보다 82.3% 많았으나 중위(50%) 구간의 1인당 통합소득은 2,301만원으로 중위 근로소득 2,572만원보다 적었다.
전체 평균소득 역시 1인당 통합소득은 3,438만원으로 근로소득 3,519만원을 밑돌았다. 근로소득자를 제외한 나머지 자영업자 등 447만명을 추가해 소득 규모 순으로 천분위로 줄을 세워보면, 소득증가분이 상위권에 특히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자·배당·부동산 임대·사업·근로·기타 소득을 모두 합산한 통합소득을 보면, 단순한 근로소득보다 소득 격차가 훨씬 더 크게 벌어진다.
특히 상위 0.1% 구간에 속하는 통합소득자 2만2,482명은 33조1,390억원을 벌어들였다. 이는 통합소득 하위 27%의 총 통합소득 34조8,838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또한 근로소득자는 상위 0.1%의 소득은 14조5,609억원으로 하위 17%의 전체 근로소득 15조4,924억원과 맞먹는 수준을 기록했다. 김정우 의원은 "성장의 결실을 중산층과 저소득층에 이전해 다시 내수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정책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문다애기자 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원조퀸’ 이미래, 소속팀 타이틀 스폰서 대회에서 4년 9개월만의 우승
- 강원특별자치도, '2025 강원국방벤처센터 협약기업 간담회' 개최
- 원강수 원주시장, 김민석 국무총리에 'AI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등 주요 현안 건의
- 월간 ‘한국연극’, ‘2025 올해의 공연 베스트 7’ 발표
- 이강덕 포항시장, 국회 방문 ‘내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 총력 대응 나서
- 포항시, ‘연어 양식특화농공단지 조성사업’ 본격 추진 돌입
- 인천시, 아이바다패스로 지역경제 활성화
- 영천시, 2025 경북 시군 농정평가 ‘최우수상’ 수상
- 다산의 숨결 장기에 깃들다. . .포항시, 남양주시로부터 정약용 선생 영정 전달받아
- 경주시, 소속 공무원 명의 도용한 사칭 범죄 포착…“문자 통한 거래 요청은 전부 가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원조퀸’ 이미래, 소속팀 타이틀 스폰서 대회에서 4년 9개월만의 우승
- 2강원특별자치도, '2025 강원국방벤처센터 협약기업 간담회' 개최
- 3원강수 원주시장, 김민석 국무총리에 'AI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등 주요 현안 건의
- 4월간 ‘한국연극’, ‘2025 올해의 공연 베스트 7’ 발표
- 5이강덕 포항시장, 국회 방문 ‘내년도 국가투자예산 확보’ 총력 대응 나서
- 6포항시, ‘연어 양식특화농공단지 조성사업’ 본격 추진 돌입
- 7인천시, 아이바다패스로 지역경제 활성화
- 8영천시, 2025 경북 시군 농정평가 ‘최우수상’ 수상
- 9다산의 숨결 장기에 깃들다. . .포항시, 남양주시로부터 정약용 선생 영정 전달받아
- 10경주시, 소속 공무원 명의 도용한 사칭 범죄 포착…“문자 통한 거래 요청은 전부 가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