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이자상환부담 2년새 증가…20년전 외환위기 이후 최고

가계의 소비여력에 견준 이자상환 부담이 최근 몇년 새 상당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비용 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이자상환비율이 올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3.2%를 유지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2분기(3.3%)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자상환비율 상승은 가계의 소비 여력보다 이자비용 부담이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이자상환비율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치(연 1.25%)로 내린 시기인 2017년 1분기 2.1%로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오름세로 돌아서 2년 반 동안 1.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가 반등하고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를 웃돌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비율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가계부채가 민간소비를 위축하는 효과가 커진다는 연구분석 결과도 있다.
박양수 당시 조사국 거시모형팀장 등 한은 연구진 13명은 2012년 집필한 '부채경제학과 한국의 가계 및 정부부채'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이자상환비율 임계치를 2.5%로 추산하고 이 비율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가계의 이자상환부담 증가로 소비위축 압력이 가중된다고 분석했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상환비율은 2017년 4분기(2.5%) 이후 이 보고서가 추산한 임계치를 계속 웃돌고 있다. 최근 과다한 가계부채 총량이 민간소비를 압박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자상환 부담 관련 지표 역시 민간 소비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임을 가리킨 셈이다.
우리나라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 말 기준 18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회원국 평균치(130.6%·2018년 기준)를 크게 웃돌고 있다. 2013~2018년 민간소비는 연평균 2.35% 증가해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연평균 3%)을 하회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영일 연구위원은 "경기 전망이 좋을 때는 가계부채가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최근처럼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철현 의원 “농어촌 기본소득, 국비 분담률 높이고 대상 지역도 확대해야”
- 장흥군, 패류생산지역 하수도 보급사업에 국비 66억 원 확보
- 김한종 장성군수 "안전한 환경 제공 위해 빈틈없이 확인할 것"
- [기자수첩] 원주시의회,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 명현관 해남군수 "군의 선제적 대응으로 피해 농가 조기 지원"
- 원주시 공무원 65% “시의회와 관계 적절치 않아…개별 사업 개입 부담”
- 남원경찰서, 도내 최초 '순찰차 거점 주차구역' 설치
- 도성훈 인천교육감, 미래교실 글로벌 협력 나선다
- 부천시, 공사장 안전관리 새 기준 세우나
- ‘매립 제로’ 선언한 인천시, 순환도시로 전환 가능할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주철현 의원 “농어촌 기본소득, 국비 분담률 높이고 대상 지역도 확대해야”
- 2장흥군, 패류생산지역 하수도 보급사업에 국비 66억 원 확보
- 3김한종 장성군수 "안전한 환경 제공 위해 빈틈없이 확인할 것"
- 4원주시의회,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 5명현관 해남군수 "군의 선제적 대응으로 피해 농가 조기 지원"
- 6원주시 공무원 65% “시의회와 관계 적절치 않아…개별 사업 개입 부담”
- 7더네이쳐홀딩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가을 프로모션 진행
- 8빙그레, 친환경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 9남원경찰서, 도내 최초 '순찰차 거점 주차구역' 설치
- 10도성훈 인천교육감, 미래교실 글로벌 협력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