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이자상환부담 2년새 증가…20년전 외환위기 이후 최고

가계의 소비여력에 견준 이자상환 부담이 최근 몇년 새 상당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비용 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이자상환비율이 올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3.2%를 유지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2분기(3.3%)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자상환비율 상승은 가계의 소비 여력보다 이자비용 부담이 늘어났음을 의미한다. 이자상환비율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치(연 1.25%)로 내린 시기인 2017년 1분기 2.1%로까지 낮아졌다가 이후 오름세로 돌아서 2년 반 동안 1.1%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가 반등하고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소득 증가속도를 웃돌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비율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가계부채가 민간소비를 위축하는 효과가 커진다는 연구분석 결과도 있다.
박양수 당시 조사국 거시모형팀장 등 한은 연구진 13명은 2012년 집필한 '부채경제학과 한국의 가계 및 정부부채'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이자상환비율 임계치를 2.5%로 추산하고 이 비율이 임계치를 넘어서면 가계의 이자상환부담 증가로 소비위축 압력이 가중된다고 분석했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이자상환비율은 2017년 4분기(2.5%) 이후 이 보고서가 추산한 임계치를 계속 웃돌고 있다. 최근 과다한 가계부채 총량이 민간소비를 압박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자상환 부담 관련 지표 역시 민간 소비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임을 가리킨 셈이다.
우리나라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분기 말 기준 18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5개 회원국 평균치(130.6%·2018년 기준)를 크게 웃돌고 있다. 2013~2018년 민간소비는 연평균 2.35% 증가해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연평균 3%)을 하회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영일 연구위원은 "경기 전망이 좋을 때는 가계부채가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지만, 최근처럼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광주농업기술센터, ‘찾아가는 반려식물병원’ 운영
- 광주경총-한국윈난기업연합회, 경제교류 지원 등 업무협약
- 전남도, 미 관세 대응 생성형 인공지능 실무 교육
- 전남 청년 농부가 일군 농특산물…부산 시민 입맛 사로잡았다
- 대한미용協-스카이장례식장, 장례서비스 지원 등 업무협약 체결
- [기획] 인천, 2025년 문화·여행 중심지 도약
- 이재명 후보, '이순신의 길' 따라 광양서 유세 시작
- 5⋅18단체,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 5⋅18민주묘지 참배 반대
- 남원 가야홍보관 개관…세계유산 고분군 조명
- TBC·수성아트피아 소년소녀합창단, 2025년 신규단원 추가 모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판로 확대 지원
- 2오로스테크놀로지, 오버레이 장비 도입 확대…비수기에도 호실적-한투
- 3광주농업기술센터, ‘찾아가는 반려식물병원’ 운영
- 4hy, 사내봉사단 50주년 맞아 ‘전국 온기 나눔 릴레이’ 실시
- 5중기중앙회 서울지역본부, 협동조합 임직원 한마음 대회 개최
- 6광주경총-한국윈난기업연합회, 경제교류 지원 등 업무협약
- 7KT, 서울랜드서 서울맹학교 학생들과 ‘마음으로 봄’ 나들이 행사
- 8메드트로닉의 수술로봇 '휴고', 서울대병원서 첫 활용
- 9DL이앤씨 ‘e편한세상 대장 퍼스티움’, 청약 경쟁률 최고 39.5대 1 기록
- 10티머니, ‘카드캡터 체리’ 디자인 교통카드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