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최재형 감사원장 검찰 고발…“한수원 감사 직무유기”

[서울경제TV=정순영 기자] 탈원전반대 시민단체가 최재형 감사원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원자력정책연대, 에너지흥사단 등 7개 탈원전반대 시민단체들은 6일 감사원이 한국수력원자력의 월성1호기 경제성 조작 의혹에 대한 조사결과 발표를 고의로 늦추고 있다며 최재형 감사원장에 대한 고발장을 서울서부지검에 제출했다.
이들 시민단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한수원의 월성1호기 경제성 조작 전말을 3월 31일까지 발표하지 않으면 고발하겠다고 최후통첩했음에도 불구하고 감사원장은 결국 권력의 하수인이 돼 국회법을 위반하고 직무를 유기했다”며 “1,000여명의 감사원 구성원을 권력의 하수인으로 전락시켜 명예를 훼손하고 국민을 배신한 최재형 원장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감사원은 오는 9일 열리는 감사위원회에 월성1호기 조기 폐쇄 결정 타당성 감사 내용을 부의할 계획이다.
앞서 정유섭 자유한국당 의원은 2018년 한수원의 회계법인 용역보고 초안에는 월성 1호기의 계속 가동 이익이 1,778억여원이라고 조사됐으나 한수원과 산업부 등이 회의를 거친 뒤 의도적으로 경제성이 축소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공약 중 하나인 월성1호기 조기폐쇄를 위해 정재훈 사장에게까지 보고된 보고서를 정부와 한수원이 왜곡·조작했다는 주장이다.
감사원은 지난해 10월부터 경제성 조작 의혹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반년이 넘도록 결과 발표를 미루고 있다.
관련 법규에 따르면 감사원은 감사 요구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 안에 결과를 국회에 보고해야 하고, 특별사유가 있으면 2개월 내 감사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감사원은 지난해 12월 감사 기간을 한 차례 연장했지만 연장된 2개월의 기간이 만료됐음에도 뚜렷한 입장 없이 조사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감사원이 4·15 총선을 앞두고 탈원전 정책 비판여론이 커질 것을 우려해 총선 이후로 발표를 늦추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에너지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 소속 대학 교수 225명도 지난 2월 “감사 결과를 정해진 기한 안에 국회에 보고하지 않은 최 원장은 헌법 제65조에 따라 탄핵 소추의 대상”이라는 내용을 담은 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HDC현대산업개발 3분기 영업익 730억원…전년比 53.8%↑
- 서울신라호텔, 레스토랑 4곳 세계 1000대 레스토랑 등재
- 네이버, 명품 브랜드 공식몰 '하이엔드' 서비스 출시
- 아머드프레시, 보리로 만든 원두커피 '맨해튼로스트앤코' 론칭
- CJ ENM, 케이팝 플랫폼 ‘엠넷플러스’로 글로벌 콘텐츠 허브 도약
- 케이워터운영관리, ‘2025 어린이 우리강 그리기대회’ 개최
- 한미, 세계 최대 의약품 전시회 참가…글로벌 경쟁력 알린다
- 삼성SDI "美 공장서 ESS 양산 시작"…4분기 실적 개선 기대
- 하랑, 주거·법률·멘토링 지원으로 청년 자립 지원
- 한유원,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참여…소비촉진 이어간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HDC현대산업개발 3분기 영업익 730억원…전년比 53.8%↑
- 2경영권 분쟁 휩싸인 광무…450억 자사주 소각 등 예고
- 3고창군, 만월어촌계 '지주식 김 양식 재개 기념' 풍어제
- 4고창 K 푸드 '배'...미국 수출 성과
- 5'고창愛 빠지다, 모양愛 물들다'...2025 고창모양성제 29일 개막
- 6최경식 시장, 기재부 연이어 방문…2026년 국비 확보 총력전
- 7서울신라호텔, 레스토랑 4곳 세계 1000대 레스토랑 등재
- 8하나금융, 3분기 누적 순익 3조 4334억원…전년比 6.5%↑
- 9네이버, 명품 브랜드 공식몰 '하이엔드' 서비스 출시
- 10인천시, 공공디자인 우수 제품 발굴 나서…‘IGD 인증제’ 심사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