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디바이오사이언스, 슈퍼박테리아 치료제 국책과제 선정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넥스트사이언스 자회사 단디바이오사이언스가 2020년 보건복지부의 국책과제를 수주, 총 20억 5000만원(2년 9개월) 규모의 신약개발 기금을 유치했다고 7일 밝혔다. 관련 기술(물질)은 지난 3월 국내외 원천 기술 특허를 획득한 상태다.
박영민 대표는 “개발 중인 펩타이드 기반의 다제내성 그람음성균(슈퍼박테리아) 치료제 신약 기술(DD-S052)이 보건복지부의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의 ‘미해결 치료제 도전 기술개발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과제는 3년 내에 해당 다제내성 그람음성균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비임상시험을 완료하고 미국 FDA 신약허가를 위한 IND(임상시험계획승인) 절차를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의 해당 사업은 글로벌 수준의, 슈퍼박테리아 감염 치료 후보물질의 임상시험 승인단계까지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임상 현장에서 분리한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효능 및 안전성 평가를 기반으로 후보물질의 비임상시험을 완료하고 의약품 생산 공정을 개발하여 FDA 임상시험을 진입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해당 사업은 감염내과 전문의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윤영경 교수가 주관 연구책임자이며 항생 펩타이드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인 건국대 김양미 교수가 제 2세부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단디바이오사이언스의 정인덕 부소장(제 3세부 연구책임자)이 비임상단계의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단디바이오사이언스는 박영민 건국대의학전문대학원 교수가 2016년에 창업한 신약개발 바이오 제약 벤처 기업이다. 박 교수는 30년 넘게 면역학 연구에 매진해 왔으며 패혈증을 조절할 수 있는 신약후보물질 발굴에 집중했다. 패혈증 치료제 개발과 면역증강제 및 관련 항암제 약물전달플랫폼 개발을 주력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국책과제에 해당하는 슈퍼박테리아 항생후보물질의 경우 임상 2상 진입 전후 기술이전이 기대된다.
박 대표는 “단디바이오사이언스는 최대주주인 넥스트사이언스와 글로벌 임상 경험이 있는 에이치엘비 및 에이치엘비생명과학, 미국의 이뮤노믹테라퓨틱스와 함께 HBS(HLB Bio eco-System)를 구축해 동반성장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메드팩토, 중국 ‘TGF베타 심포지엄’서 MP010 파트너링 모색
- 모아데이타, 태국 기업과 AI 건강관리 플랫폼 구축 계약
- 파미셀, '제2회 마종기문학상' 시상식 후원
- NH농협생명, 전국 초등학생 대상 '모두레 경제·금융교육' 운영
- Sh수협은행, 'ESG 경영실천 환경정화 플로깅 캠페인' 펼쳐
- 이창용 "부동산 불 지피지 않겠다"…3연속 금리 동결로 정책 공조(종합)
- 미래에셋증권, 올해 총 '퇴직연금 적립금 증가' 업계 1위
- 한은 금통위 3연속 기준금리 동결…금융안정 택했다
- 신한투자증권, 3분기 IRP 운용수익률 18.59%…증권업 1위 달성
- 한국거래소, '2025 건전증시포럼'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국제약과 함께하는 갱년기 극복 동행캠페인’ 성료
- 2'국화 물결 속으로'…진도군, '보배섬 국화축제' 27일 개막
- 3민주당 전남도당 선거관리위, 10년 만의 경선 준비…동·서부권 ‘균형 논란’ 재점화
- 4“2030세대 10명 중 8명 COPD 모른다”…결핵및호흡기학회 대국민 인식도 조사
- 5"풍년과 번영 기원" 남원주당산제 26년 전통 잇다
- 6대한적십자사 천안시협의회, 전북 남원서 효도관광 행사 열어
- 7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글로벌 수출 전진기지"
- 8장흥군 드림스타트, '다복가정' 일곱째 출산에 출산용품 지원
- 9'꼼수 인상' 교촌치킨, 결국 중량 200g 늘려 원상복구
- 10메드팩토, 중국 ‘TGF베타 심포지엄’서 MP010 파트너링 모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