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경식 “기업·일자리 지키기 위한 노사정 협력 필요”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손경식(사진)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은 14일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의 영향으로 미증유의 실물충격과 고용대란이 우려된다”며 “기업과 일자리를 지키기 위한 노사정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경식 회장은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경총 경영발전자문위원회 인사말에서 “세계적으로 인적·물적 교류가 제한되고 소비활동도 봉쇄돼, 대외 의존도가 세계 최상위권인 우리나라도 수출 피해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손 회장은 “현재의 위기는 기업 외부의 불가항력으로 인한 것”이라며 “기업 자체만으로는 고용유지 비용을 감당할 수 없고, 정부와 모든 경제주체가 함께 분담해 나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각종 고용지원 시책이 계속 확대 시행돼야 하며, 노사도 임금과 고용 간 대타협을 통해 기업과 고용을 모두 살리도록 협력하고 고통을 분담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손 회장은 또 “코로나19 이후 시대엔 일하는 방식이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되고 집단 활동보다 개별활동으로 유연하게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새로운 환경에서 협력적 노사관계와 유연한 노동시장 확립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 회장은 이를 위해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 탄력근로제, 선택근로제 등 유연 근로시간제도 확대가 필요하고, 원격·재택근무 등의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날 경영발전자문위원회에서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와 고용·노동시장’ 주제 발표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반세계화, 디지털화가 가속하면서 산업구조 개편이 일어나고 구조적 실업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풀타임 직원을 17만명 이상 채용한 미국 기업 아마존과 시간제 아르바이트 8,000명을 채용한 한국의 쿠팡 사례를 들며 “양국 노동시장의 유연성 차이가 새로운 환경에서 커다란 격차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정부가 아닌 시장이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디지털 시대에 맞는 노동법 개선, 제도권 밖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사회안전망 구축, 해외 진출 기업의 복귀를 위한 ‘유턴 기업 정책’, 대기업 노조의 양보를 전제로 한 사회적 합의 등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타이어, 영국 법인 ‘한국 하우스’ 개관식
- 에코프로, 폭염 속 근로자 안전 대응 강화
- BGF리테일, 성남에 장애인 편의점 4호점 개소
- 제주항공, 부산~상하이 노선 신규 취항…中 노선 확대
- LG전자, 美 타임스스퀘어에서 멸종위기종 보호 캠페인 나서
- 삼성전자, EU 무선기기 지침 사이버 보안 인증 획득
- KT, 가평군 폭우 피해 지역에 이동형 발전차 긴급 투입
- 쌍령파크개발, 광주 쌍령공원에 랜드마크 건축물 짓는다
- 현대차, 포티투닷에 2000억원대 추가 출자…"SDV 시장 정조준"
- 한미반도체, 하이브리드 본딩에 1000억 투자…"2027년 전용 장비 출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 경제교육 대표 강사 선발·육성하는 '나는 강사다' 개최
- 2한국타이어, 영국 법인 ‘한국 하우스’ 개관식
- 3에코프로, 폭염 속 근로자 안전 대응 강화
- 4BGF리테일, 성남에 장애인 편의점 4호점 개소
- 5제주항공, 부산~상하이 노선 신규 취항…中 노선 확대
- 6LG전자, 美 타임스스퀘어에서 멸종위기종 보호 캠페인 나서
- 7삼성전자, EU 무선기기 지침 사이버 보안 인증 획득
- 8우리銀, 하반기 경영전략회의 개최…‘과감한 변화로 도약’
- 9카카오뱅크 “해킹 월드컵 도전하는 국내 보안 인재 지원”
- 10KT, 가평군 폭우 피해 지역에 이동형 발전차 긴급 투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