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오락가락 언택트주, 실적시즌 순환매에 집중해야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경기 부양책 연기 소식과 기술주 약세에 뉴욕 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특히 최근 뉴욕 증시를 견인했던 기술주들의 변동성 심화에 따른 국내 언택트주의 변동성에 주의하며 실적시즌 순환매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9.53포인트(0.6%) 상승한 2만6,840.40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5.46포인트(0.17%) 상승한 3,257.30에 마쳤다. 기술주 약세에 나스닥은 86.73포인트(0.81%) 하락한 1만680.36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21일) EU(유럽연합)와 미국의 경기 부양책 소식이 들려왔다. EU의 27개국 정상들은 협상 끝에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7500억유로(약 1,030조원) 규모의 경제회복기금 조성에 합의했다.
하지만 미국의 추가 부양책은 다음달로 미뤄졌다. 미국 집권 공화당 케빈 맥카시 하원 원내대표는 이달 중 제5차 경기부양책 처리는 어려울 것이며 다음달에나 통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실업자들에게 1인당 주당 600달러씩 주어지는 연방정부의 추가 실업수당 프로그램은 만료시점인 이달 말을 끝으로 중단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일(현지시간 20일) 반등에 성공했던 4대 기술주 MAGA(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알파벳, 아마존)는 일제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테슬라는 투자의견 하향 조정 소식에 4.54% 급락 마감했다.
이에 증권업계는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는 언택트주의 움직임에 주의하며 실적시즌에 따른 종목별 차별화에 따른 순환매 장세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가 새로운 이슈가 부각되기 보다는 유동성 쏠림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며 전일과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며 경기 민감주 위주로 강세를 보이며 업종별 순환매가 빠르게 진행됐다”며 “이러한 모습은 한국 증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전일 강세를 보였던 종목군에 대한 매물 소화 과정은 불가피할 것”이라 전망했다.
이경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코스피 전반적 실적 하향으로 인한 실적개선 종목의 희소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유동성은 풍부하다”며 “희소한 실적개선 종목군에 대한 넘치는 유동성이 달겨들고 있는 상황으로 적어도 이번 2분기 실적시즌에는 기대 이상의 실적이 나온 종목에 한해서는 ‘호재 해소’로 급락하는 것이 아닌 온전히 호재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어 이 연구원은 “시장은 국내 시장의 이익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는 ‘2(차전지),자(동차),바(이오),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카드 해킹사고' 청문회 증인 채택된 MBK 김병주 회장, 출석 여부 '관심'
- 그린플러스, 충남 부여·전남 보성서 74억 스마트팜 수주
- 한울앤제주 “팥고당, 태국·일본 업체와 협업 논의”
-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 2상 첫 환자 등록
- 농협은행, 중견기업 맞춤형 금융지원 나선다
- JB금융그룹, 추석 특별자금 1조1000억원 지원
- 삼성전자, 프리마켓서 ‘9만전자’ 터치…장중 9만1000원
- 에이피알, 3분기 호실적 전망…목표가 10%↑-한투
- KS인더스트리, 'KORMARINE 2025' 참가…"글로벌 A/S 네트워크 공개"
- 토스 고성장에 조급했나…카카오페이證, 고수익률 홍보 알림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카드 해킹사고' 청문회 증인 채택된 MBK 김병주 회장, 출석 여부 '관심'
- 2그린플러스, 충남 부여·전남 보성서 74억 스마트팜 수주
- 3롯데마트·슈퍼, 추석 선물세트 본 판매 진행
- 4밀집, 포토이즘과 업무 제휴 협약…‘맵달서울’ 오픈 박차
- 5정철원 담양군수 "당분간 민생‧경제 회복에 올인할 것"
- 6이엠텍, 신제품 ‘ETo 하이브리드’ 첫 프로모션
- 7노브랜드 버거, 출점 가속화에 ‘NBB 아카데미’ 확장 오픈
- 8롯데홈쇼핑, 대학서 라이브 커머스 전 과정 실습 교육
- 9부산교육청, '대한민국 sns 대상' 공공기관 교육부문 1위
- 10한울앤제주 “팥고당, 태국·일본 업체와 협업 논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