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무부, 한국산 페트 시트에 반덤핑 관세…최고 52%
美 상무부, SK케미칼 등 국내기업 13곳에 반덤핑 관세
“중요 정보 제공치 않고 조사 절차 지연시켰다” 주장
한국산 4급 담배에 대한 반덤핑 예비판정도 내놔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미국 상무부가 한국산 페트 시트(PET sheet)에 최고 5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4일 한국무역협회 워싱턴지부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한국산 페트 시트에 대한 반덤핑 관세 최종판정 결과를 발표했다. 판정 결과에 따르면, 상무부는 SK케미칼을 비롯한 국내 기업 13곳에 52.01%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지난 2월 예비판정에서 받은 관세와 동일한 수준이다.
상무부는 예비판정 때와 마찬가지로 이들 기업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고 조사 절차를 상당히 지연시켰다고 주장하면서 ‘불리한 가용정보’(AFA)를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AFA’는 대상 기업이 자료 제출 등 조사에 충분히 협조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경우 상무부가 자의적으로 고율의 관세를 산정하는 것이다.
상무부는 다만 조사에 협조한 1개 기업에는 예비판정(8.02%) 당시보다 낮아진 7.19%의 관세율을 산정했다.
지난해 7월 미국의 페트 시트 기업들은 한국·멕시코·오만에서 들어오는 제품으로 인해 자국 산업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덤핑 혐의 제소장을 제출한 바 있다. 당시 미국 기업들은 한국산 페트 시트에 대해 44.45∼52.39%의 반덤핑 관세율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페트 시트는 0.18∼1.14㎜로 압출된 페트(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를 말하며, 달걀과 채소 포장재 등에 사용된다.
2018년 기준 미국의 한국산 페트 시트 수입 비중은 12.1%로 오만(28.2%) 다음으로 컸다. 업계 관계자는 “SK케미칼은 관련 제품 비중이 워낙 미미해 큰 영향이 없겠지만, 페트 시트가 주력인 중소·중견기업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상무부는 또한 이날 한국산 4급 담배에 대한 반덤핑 예비판정 결과도 내놓았다. 4급 담배는 길이 7.0∼12.0㎝, 지름 1.3㎝ 이하의 궐련형 담배를 말한다.
상무부는 한국산 4급 담배가 정상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며 KT&G 등 대상 업체에 대해 5.48%의 관세율을 적용하는 예비판정을 내렸다. 앞서 미국의 담배 생산자 연합은 작년 12월 한국 업체가 불공정한 가격으로 담배를 수출해 자국 산업이 피해를 봤다며 반덤핑 조사를 청원했다. 상무부는 예비판정 공표일로부터 120일 이내에 최종 판정을 내릴 예정이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디지털포토 '찍스', 트루포토북APP 업데이트 기념 20% 할인
- 한성자동차, 최상위 고객 초청 골프대회 ‘탑클래스 마스터스 2025’ 성료
-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 대회장 곳곳서 모터쇼급 차량 전시
- 파미티, ‘혁신성장유형 벤처기업’ 인증 획득
- 마포구고용복지지원센터, 청년도전지원사업 MEET UP DAY 프로그램 성료
- "소아암 어린이에게 희망 전해요"…제주항공, 헌혈증·여행용키트 기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스웨덴에 1500억원 MCS 추가 수출
- 현대자동차, 글로벌 브랜드 가치 246억 달러 달성
- 비즈넵, 셰프 이원일과 함께 세금 환급 브랜드 캠페인
- MBK 김병주, 홈플러스·롯데카드에 '선긋기' 논란…"관여하는 부분 아니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광주 서구, 대규모 불법 파크골프장 행정대집행 단행
- 2디지털포토 '찍스', 트루포토북APP 업데이트 기념 20% 할인
- 3한성자동차, 최상위 고객 초청 골프대회 ‘탑클래스 마스터스 2025’ 성료
- 4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 대회장 곳곳서 모터쇼급 차량 전시
- 5파미티, ‘혁신성장유형 벤처기업’ 인증 획득
- 6마포구고용복지지원센터, 청년도전지원사업 MEET UP DAY 프로그램 성료
- 7"소아암 어린이에게 희망 전해요"…제주항공, 헌혈증·여행용키트 기부
- 8한화에어로스페이스, 스웨덴에 1500억원 MCS 추가 수출
- 9현대자동차, 글로벌 브랜드 가치 246억 달러 달성
- 10비즈넵, 셰프 이원일과 함께 세금 환급 브랜드 캠페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