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증권, 6개월 만에 계좌 개설 200만 명 돌파
2월말 정식 서비스 시작 후, 월 평균 27.8% 증가…현재 누적 계좌 개설자 수 200만↑
8월 한 달간 펀드 투자 440만 건 이상, 매일 평균 220만건 이상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카카오페이증권이 정식 서비스 시작 반 년 만에 누적 계좌 개설자 수가 200만 명을 돌파했으며, 한 달간 일어나는 펀드 투자는 440만 건을 넘어섰다고 7일 밝혔다.
카카오페이증권 계좌는 2월 27일 정식 서비스 시작 후, 월 평균 27.8%씩 증가했다. 3월 60만 명 개설을 시작으로, 4월 80만 명, 5월 120만 명, 6월 140만 명, 7월 170만 명에 이어 현재 200만 명을 넘어섰다.
사용자 연령 폭도 넓어지고 있다. 3월 기준 계좌 개설자의 연령별 비중은 20~30대 68%, 40~50대 27%로 약 10명 중 7명이 청년층이었으나, 현재는 20~30대 60%, 40~50대 34%로 중장년층이 증가하며 연령대 분포가 비교적 고르게 형성되고 있다.
또한, 카카오페이증권은 결제 후 남은 잔돈이 펀드에 자동 투자되는 ‘동전 모으기’, 결제 후 받은 리워드로 투자하는 ‘알 모으기’ 등 재미를 더한 새로운 투자 문화로 공모펀드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지난 8월 한 달 간 펀드 투자 건수는 7월보다 1.5배 증가해 440만 건을 넘어섰으며, 매일 평균 22만 건 이상의 펀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동전 모으기’, ‘알 모으기’와 함께 ‘자동투자’ 신청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현재 ‘동전 모으기’와 ‘알 모으기’의 누적 신청 건수는 69만 건, ‘자동투자’ 신청 건수는 24만 건으로, 6월 말보다 각각 2.2배, 2.5배 늘어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펀드 투자자도 6월 말보다 2배 증가한 60만 명으로, 현재 카카오페이증권 계좌 개설자의 30%가 펀드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카카오페이증권은 더 많은 사용자들이 펀드를 경험할 수 있도록 ‘알 모으기’ 프로모션을 9월까지 연장한다. 9월 말까지 ‘알 모으기’ 신규 신청하면 첫 투자금 1,000원을 지원하며, 카카오페이로 결제 후 받은 알 리워드로 지정한 펀드에 자동투자 할 수 있다. 알 리워드는 1인당 30회까지 지급된다. ‘알 모으기’ 프로모션은 6~7월 두 달간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높은 참여율로 인해 한 달 더 연장한 바 있다.
이상원 카카오페이증권 사업전략본부장은 “코로나19 확산 등 어려운 대외 환경 속에서 출범했으나,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증권 서비스에 사용자분들이 호응해 주시면서 단 기간 내 200만 계좌 돌파와 함께 펀드 투자를 활발하게 일으키는 증권사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카카오페이 플랫폼과 결합하여 사용자들이 일상에서 쉽고 재미있게 투자하면서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페이증권 계좌는 일반 예탁 계좌로, 카카오톡 안에서 몇 번의 터치 만으로 쉽고 빠르게 개설할 수 있다. 계좌를 개설하면 충전한 카카오페이머니가 자동 이체되어 1인당 5,000만 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가능하며, 전월 실적과 한도없이 매주 연 0.6%가 지급된다. 선불전자지급수단과 달리 계좌 보유 금액에 한도가 없고, 계좌 송금 한도도 1회 1,000만 원까지 상향되며, 펀드 투자도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BNK금융 고군분투…지역 살리고 건전성 지킨다
- 수협은행, 비은행 첫 인수…금융지주 전환 속도
- 뉴로랩-광주시, AI·협동로봇 기반 '랩오토메이션' 시장 진출 가속화
- 한패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IPO 시동 본격화
- 뱅크샐러드, 고객 대상 금융 피해 보상 위한 '해킹 피해 보증서' 제공
- 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산은 새 리더십에…KDB생명 정상화 속도 낼까
- 하나금융 "주주환원율 높여라"…하반기 경영환경 변수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천시, 생계형 체납자에 ‘맞춤형 지원’ 펼쳐
- 2파주시, 공공도서관에...‘리박스쿨’ 도서 퇴출 결정
- 3북수원테크노밸리, "AI가 열어가는 자족형 15분 도시로"
- 4김정헌 중구청장 “제물포구 성공, 주민 화합이 답”
- 5동두천시, ‘환경·안전 도시’로 재도약 밑그림
- 6의정부시, 보훈단체별 간담회… “현장 목소리 정책에 담는다”
- 7'이상지질혈증 패싱'은 언제까지…고혈압·당뇨처럼 제도적 지원을
- 8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9남원시의회 경제농정위, 민생 현안 점검…"시민 체감 성과 중요"
- 10600년 전 옛 한글서체 입은 ‘고래밥·초코송이’ 등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