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미국 선물옵션 만기일 부담될 수 있지만 영향은 제한적일 것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뉴욕 증시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앞두고 FOMC에 대한 실망감과 코로나 백신 보급 시점의 불확실성 등으로 하락 마감했다. 특히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의 앞두고 대형 기술주의 변동성이 심화된 부분은 국내 증시에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0.40포인트(0.47%) 하락한 2만7,901.98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8.48포인트(0.84%) 내린 3,357.01에 마쳤다. 기술주 약세에 나스닥은 140.19포인트(1.27%) 하락한 1만910.28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17일) 미 증시는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현지시간 18일)을 앞두고 변동성이 심화된 가운데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적 완화정책이 부족하다는 실망감에 대형 기술주 위주의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졌다.
미 의회의 추가 재정부양책 협상 불확실성과 코로나19 백신의 일반 보급 시점이 기대보다 늦춰지는 점 등도 시장에 실망감을 안겼다.
이에 증권업계는 미국의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을 앞두고 대형 기술주의 변동성 심화는 국내 증시에도 부담이 될 수 있지만, 전일 선반영 된 부분과 미국내 개별 이슈로 하락한 부분도 있는 만큼 영향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선물옵션 만기일 앞두고 대형 기술주에 대한 콜 옵션이 큰 폭으로 증가했던 점과 옵션 청산에 따른 미 증시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해 투자심리가 개선될 개연성 또한 높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미국 옵션 시장에서 최근 나스닥의 조정이 있을 때에도 상승을 주도했던 일부 종목의 콜 옵션 매입이 증가해 금요일 미 증시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다”며 “이를 감안 시장은 개별 종목 이슈에 따라 변화하는 종목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 가운데 최근 지수 변화를 이끄는 외국인의 선물 동향에 따라 지수 방향성이 결정될 것”이라 전망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카드 해킹사고' 청문회 증인 채택된 MBK 김병주 회장, 출석 여부 '관심'
- 그린플러스, 충남 부여·전남 보성서 74억 스마트팜 수주
- 한울앤제주 “팥고당, 태국·일본 업체와 협업 논의”
-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 2상 첫 환자 등록
- 농협은행, 중견기업 맞춤형 금융지원 나선다
- JB금융그룹, 추석 특별자금 1조1000억원 지원
- 삼성전자, 프리마켓서 ‘9만전자’ 터치…장중 9만1000원
- 에이피알, 3분기 호실적 전망…목표가 10%↑-한투
- KS인더스트리, 'KORMARINE 2025' 참가…"글로벌 A/S 네트워크 공개"
- 토스 고성장에 조급했나…카카오페이證, 고수익률 홍보 알림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용진 전 기재부 차관, GH 제13대 사장 취임
- 2장수군, 농촌특화지구형 농촌공간정비사업 공모 선정
- 3장수군 홍보대사 최재명 팬, 장수군에 어린이 도서 600권 기탁
- 4대한패브릭 서한집 대표, 3년 연속 순창군에 고향사랑기부금 전달
- 5"군민 안전 최우선" 임실군, 2026년 재해예방 정비사업 확정
- 6임실군 붕어섬 생태공원, 가을꽃 물결로 단장
- 7LG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AI 기술 리더 한 자리"
- 8HD현대희망재단, 중대재해 피해 유가족 생활안정 지원 나서
- 9LIG넥스원, 에어버스 DS와 통합방공분야 협력확인서 체결
- 10진보당, 시내버스 무료환승 1시간 늘려야…서명운동 돌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