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관광산업 핵심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
빅데이터·IoT 등 활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관광업계, 비대면 서비스 구현 여부 관건
로컬 콘텐츠 홍보 등 트렌디한 변화 필수

[앵커]
‘2020 제주 버추얼 포럼’에서는 국내외 관광 업계 전문가들도 참여해 미래 관광 산업에 대한 토론을 펼쳤는데요.
코로나 시대 이후 변화된 관광산업의 모습은 어떨까요. 설석용 기잡니다.
[기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 산업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핵심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최악의 현실을 맞고 있는 관광업계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와 AI, 사물인터넷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겁니다.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이를 어떻게 구현해내야 할 지가 관건입니다.
정부 역시 기존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관광 정책의 방향성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이재호 /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
“내비게이션이나 택시 플랫폼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모빌리티 빅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코로나 시대에 정부가 새로운 관광 정책을 수립하거나 기업이 의사결정을 할 때 굉장히 효율적인 정책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특히, 로컬 콘텐츠 홍보와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트렌디한 변화가 필수라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패키지 중심의 상품에서 테마가 있는 일정이나 철저한 고객 맞춤형 관광 상품이 절실하다는 주장입니다.
[인터뷰] 박상환 / 하나투어 회장
“앞으로는 고객 중심의 고객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테마성 상품들을 개발해서 그런 상품들을 서비스하는 데에는 소위 플랫폼과 함께 결합을 해서 디지털과 함께 결합된 서비스를 하지 않고서는 결국은 여행업이 (발전할 수) 없다.”
[스탠딩] 설석용 기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관광의 모습이 어떻게 펼쳐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설석용입니다.” /joaquin@sedaily.com
[영상촬영 조무강 /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신평, 홈플러스 부실 주범으로 MBK 경영 전략 지목
- HMM, 1분기 영업이익 6139억...전년비 51% 증가
- HD현대오일뱅크, ‘화물복지카드’ 신규 출시
- 푸마, 워크데이 도입으로 인사 운영 및 인재 개발 재정의
- 카카오엔터, 웹툰·웹소설 불법 사이트 ‘리퍼스캔스’ 폐쇄
- 중기중앙회, 중소기업 청년·미래위원회 출범
- YBM 인강, 80일 데일리 학습 '영어 제로 클래스’ 오픈
- 유한양행, 여성 건강의 날 맞아 ‘엘레나 DAY’ 프로모션
- SKT "전고객 유심 보호 가입 완료…찾아가는 서비스 시작"
- 동아ST, 의료AI 기업 '메디웨일'과 업무협약 체결… "닥터눈, 병의원 마케팅 활동"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신평, 홈플러스 부실 주범으로 MBK 경영 전략 지목
- 2HMM, 1분기 영업이익 6139억...전년비 51% 증가
- 3보성군, 제3회 보성 티 마스터컵 대회 마무리
- 4HD현대오일뱅크, ‘화물복지카드’ 신규 출시
- 5목포시, 착한가격업소 45개소로 확대 운영
- 6소외 없는 여행, 모두에게 열린‘바다 가는 달’
- 7DB손보, 1분기 순이익 4470억원…전년比 23% 감소
- 8춘천시공무원노조 제13대 지부장, 이우진 홍보기획팀장 선출 ... “존중받는 공무원 시대 열것” 포부 밝혀
- 9강원랜드 하이원리조트, 국내 최대 반려견 행사 ‘2025 댕댕트레킹’개최
- 10부산시 우수정책 2건, 세계 4대 환경상 '그린 월드 어워즈'서 금·은상 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