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가계빚 1682.1조, 최대치 또 경신…정부 규제에도 '빚투’

[서울경제TV=정순영 기자] 지난 9월 말 기준 우리나라 가계부채 잔액이 1682조1,000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다시 경신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도 집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빚을 내 집을 사려는 '패닉바잉' 수요가 폭발했기 때문이다.
주식 '빚투',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생활자금 마련 수요까지 더해지면서 가계빚이 역대 두번째로 높은 폭증세를 보였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3분기(7~9월) 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682조1,000억원으로 6월말 대비 44조9,000억원 늘었다.
정부가 나서서 대출 규제를 풀었던 2016년과 달리 올해는 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위해 대출 규제를 잇따라 내놨는데도 가계빚이 급증했다.
앞서 분기별 증가액은 1분기 11조원에서 2분기 25조8,000억원으로 늘다가 3분기 증가폭이 더 크게 확대돼 2016년 4분기 46조1,000억원 이후 최대폭을 기록했다.
3분기 말 가계대출 잔액은 1,585조5,000억원으로 지난 2분기 말 1,546조원보다 39조5,000억원 늘었다.
이 가운데 주담대 잔액은 890조4,000억원으로 지난 2분기 말보다 17조4,000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잔액도 695조2,000억원으로 지난 2분기 말보다 22조1,000억원 급증했다.
부동산·주식 '영끌' 수요는 지속되는데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을 옥죄자 풍선효과로 신용대출이 급증한 것으로 해석된다.
3분기 말 기관별 가계대출 잔액은 예금은행이 전분기 말보다 26조원 증가한 821조원,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이 317조2,000억원, 기타금융기관이 447조4,000억원이었다.
증권사를 의미하는 기타금융중개회사의 가계대출 잔액은 187조4,000억원으로 지난 6월 말보다 5조5,000억원 증가했다.
3분기 말 판매신용 잔액은 96조6,000억원으로 전분기 말보다 5조4,000억원 증가했다.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영향으로 카드사 등 여신전문회사를 중심으로 늘어난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들은 정부의 각종 대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주택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고 주식거래 자금수요가 있어서 계속 증가하고 있어 속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SK하이닉스, 닷새째 오르며 첫 50만원 돌파
-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성황리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조계원 의원,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 출마 공식 선언
- 2광주시장애인체육회, "국가AI컴퓨팅센터 준비된 광주로"
- 3인천시의회 정종혁 의원, 직장 내 괴롭힘 제재 근거 강화
- 4인천 옹진군, 갯벌 사망 사고 막는다…출입통제 공고 추진
- 5발로 뛰는 공영민 고흥군수, 군내버스·출근길 소통으로 군민 목소리 경청
- 6정연욱 “정부, 미국 로또 불법홍보 방치…국민 피해 뻔한데 사실상 방조”
- 7인제나노칼슘, 대한임상보건학회 '칼슘 부문 최우수 기업' 선정
- 8쿠팡 CLS "퀵플렉서 2명 중 1명, 3일 연속 휴가"
- 9진도군, 고명환 작가 초청 '군민행복 아카데미' 23일 개최... 고전서 찾은 '진정한 행복'
- 10청년이 돌아오는 보성군, '주거·일자리·성장' 맞춤형 정책으로 활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