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음악 저작권료 이중 징수 부당, 창작자-제작자 직접 계약 인정해야”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 동영상에 사용된 음악 저적권료와 관련해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음저협)가 창작자와 콘텐츠 제작자 간 직접 계약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OTT업계가 반색했다.
해당 내용은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최근 개최한 ‘OTT 사업자의 음악저작권 적정요율’ 토론회에서 제기 된 것으로, 당사자 간 권리 처리를 마친 콘텐츠는 음저협의 징수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는 취지다.
10일 국내 주요 OTT기업으로 구성된 OTT음악저작권대책협의체는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개최한 토론회에서 나온 내용에 대해 강력히 동의한다”면서, “OTT서비스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하루 빨리 음저협과의 저작권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 이라고 밝혔다.
지난 9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OTT 사업자의 음악저작권 적정요율’ 토론회는 동영상 소비의 변화로 발생한 음악저작권료 갈등의 해법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 기조 발표를 한 김경숙 상명대 저작권보호학과 교수는 ‘OTT 영상서비스의 음악저작권 적정요율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음저협이 창작자와 콘텐츠 제작자 간 음악저작권 계약을 인정하지 않는것은 이중징수 문제가 될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창작자의 권리를 명확하게 인정하고 이중징수 문제를 해결기 위해 음저협의 신탁약관과 징수규정을 개정해야 한다”면서 “기술 발전으로 LP가 CD로 바뀌었다고 이용 행위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듯, 저작권 사용료 기준은 플랫폼의 기술적 차이가 아닌 저작물 이용 행위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OTT 서비스의 적정 사용료를 라이브 방송과 영상물 전송서비스로 구분해 부과하고, 이미 권리 처리를 마친 영상은 징수 대상에서 빼는 방안을 제시했다.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업계와 음저협은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 콘텐츠에 사용되는 음악 저작권료에 대한 양측의 입장을 좁히지 못하고 평행선을 달려왔다. 저작권료 관련 주무부처인 문체부도 중재에 나서, 양측의 의견을 듣고 적정요율 도출 등 합의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양측의 의견 차이가 너무 커 아직까지 별 다른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음저협은 지난 7월 웨이브, 왓챠, 티빙 등 국내 국내 OTT에 음악 저작권료 징수요율을 매출의 2.5%로 정하자고 통보했지만 국내 OTT업체는 기존 방송사 다시 보기 서비스에 적용하는 0.625%를 제시했다. /blue@sedaily.com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CC 슬롯 전쟁…티웨이항공, 사업 다각화 속도
- 네카오, 3분기 실적 ‘맑음’…장기 성장 ‘미지수’
- 수가는 낮고 보령도 사업 철수...‘복막투석’ 소멸 위기
- 두산건설, ‘10·15 대책’ 후 첫 청약…“비규제 효과 톡톡”
- 신세계免, 인천공항점 ‘적자’…이석구 신임 대표 시험대
- 삼성·테슬라, AI칩 동맹 강화…머스크 “삼성과 AI5 생산”
- 푸디스트, 장애인 근로자 고용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 ‘동국제약과 함께하는 갱년기 극복 동행캠페인’ 성료
- 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글로벌 수출 전진기지"
- '꼼수 인상' 교촌치킨, 결국 중량 200g 늘려 원상복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북부 산업단지, ‘빈 땅의 10년’
- 2인천시, 교육청·동구와 손잡고 화도진도서관 새단장
- 3경관조명으로 물든 오산시, 70억 원의 투자
- 4인천시의회 조현영 의원, 제3연륙교 개통...송도 주민 혜택 촉구
- 5기장군, 제19회 기장붕장어축제 열린다
- 6인천시, 갈등조정에서 공론화로… 시민 참여 숙의 행정 본격화
- 7인천시, 수도권 규제완화 논의… 지역 역차별 해법 찾는다
- 8문경복 인천 옹진군수 “정확한 통계...정책의 기초”
- 9유정복 인천시장, ‘시민이 묻고 시장이 답하다’ 현장 소통
- 10인천시의회 이단비 의원, 시민 혜택과 소상공인 보호 동시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