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믹스, NGS 기반 호흡기바이러스 9종 동시분석 ‘CRV 패널’ 출시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바이오소재 기술기업 셀레믹스가 국내 최초로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 기반의 호흡기바이러스 9종 39주 동시분석 패널인 ‘CRV(Comprehensive Respiratory Virus) 패널’을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CRV 패널은 단 한 번의 검사로 코로나 19를 포함한 총 9가지의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의 전장 염기서열을 분석·검출한다. 바이러스 유전자의 일부만 검출하는 실시간 유전자 증폭(RT-PCR) 기반의 진단키트와 달리, 바이러스의 △유전자 변이 △숙주 내 복제 여부 △신·변종 생성 여부도 단 한 번의 검사로 모두 확인 가능해 역학조사뿐 아니라 신·변종 바이러스 발생 예측과 이에 대한 진단키트, 그리고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CRV 패널에는 셀레믹스 고유의 ‘하이브리다이제이션 인핸서(Hybridization enhancer)’ 기술이 적용돼 기존 NGS 방식으로 분석할 때보다 4배 빠르게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NGS의 특징인 대량처리력과 정확성에 기반해 수천 개의 검체를 한 번에 분석 가능하고, 무증상이나 재감염자 등 높은 민감도와 정확성이 요구되는 검체도 분석 가능하다.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검출만 하는 것이 아니라 분석도 함께 진행하기에 변이 된 바이러스도 검출해서 가짜 양성·가짜 음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이번에 출시되는 CRV 패널은 연구용(RUO) 제품으로, CLIA Lab 인증을 받은 실험실에서 서비스 가능하며 향후 더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라별 개인정보보호규정을 준수하는 비클라우드 기반의 NGS/BI 통합 솔루션이 포함되어 어떤 국가에서든 별도의 인증 없이 사용 가능하며, 시중의 모든 시퀀서와 호환 가능해 넓은 범용성을 자랑한다.
이용훈 셀레믹스 공동대표는 “NGS 검사는 진단뿐 아니라 시퀀싱도 함께 진행해 생명과학 전반에 걸쳐 그 사용 범위가 계속 확장될 것”이라며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 유행 가능성이 높아져 코로나19 의심환자 발생 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NGS의 높은 정확도와 대량처리력에 기반한 경제성으로 CRV 패널이 펜더믹 상황을 조기 종료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셀레믹스는 임상적으로 질환과 연관이 있는 유전자 6천여 개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CES(Clinical Exome Sequencing) 패널’과 암과 관련된 약 400개의 유전자를 한 번에 분석할 수 있는 ‘Pan-Cancer 패널’ 등 광범위한 유전자를 커버하는 대형 NGS 패널 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으며,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치료제가 없어 정확한 질병 진단과 경제적이고 신속한 감염관리가 중요한 바이러스성 감염병에 대한 NGS 패널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KB국민카드, 제1회 'KB 알레그로 정기연주회' 성료
- BNK부산은행, ‘수영구 사랑의 집 고쳐주기’ 발대식 개최
- 코람코자산운용, 김태원·윤장호 각자 대표체제 출범
- 제일기획, 안정적 실적 지속 전망…목표가 유지-한화
- 정종표 DB손해보험 대표, 제51회 국가품질경영대회 '철탑산업훈장' 수상
- NH농협은행, 서울대서 '농심천심운동 이해하기' 토론회 실시
- 하나은행, 오프라인 마이데이터ㆍ오픈뱅킹 서비스 시행
- 우리아메리카은행, 美 텍사스 오스틴지점 개점
- SC제일은행,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개설
- 민병덕 민주당 의원 "김병주 MBK 회장, 무책임 넘어 국민 조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날아오르라, 2026 완도'…완도군, 내년 신년 화두 사자성어 공모
- 2HS화성, 대구서 공공사업 3건 연속 수주…163억 규모 지역 기반 강화
- 3영덕군, FTA기금 과수 고품질시설 현대화 사업 신청·접수
- 4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2025 글로벌스탠더드경영대상 ‘투명경영대상’ 수상
- 5대구교통공사, 노조 파업에 공사 비상대책본부 가동
- 6영남대병원 정형외과 손욱진 교수, 제37대 대한슬관절학회 회장으로 선출
- 7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건강정보 고속도로’ 사업 본격가동
- 8대구지방환경청, 환경영향평가업체와 소통 간담회 개최
- 9연세의대-가톨릭의대 연구팀, 치료제 적정 용량 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
- 10남양주시, 화도IC 서울방면 진입램프 확장…정체 해소 기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