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투자전략]바이든 공식 취임, 실적 개선주 위주의 압축 전략 필요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뉴욕 증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식 취임하며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특히 경기부양과 코로나19 백신의 안정적 공급 기대감과 대형 기술주들에 대한 강세가 이어진 반면 최근 상승한 일부 종목군에 대해서는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는 모습을 보였다. 국내 증시 역시 실적 개선주 위주로 압축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57.86포인트(0.83%) 오른 3만1,188.38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52.94포인트(1.39%) 상승한 3,851.85에 마쳤다. 기술주 강세에 나스닥 역시 260.07포인트(1.97%) 급등한 1만3,457.25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마감이다.
이날(현지시간 2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공식 취임하며 경기 부양에 대한 기대감과 안정적 코로나19 백신 공급 기대감 등에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돌발 행동 없는 정권 이양에 대한 안도감도 지수 상승을 부추겼다.
아마존(4.57%), 애플(3.29%), 페이스북(2.44%) 등 법인세 인상 시기 지연에 따른 기술주 강세도 이어졌다. 특히 넷플릭스는 가입자 급증과 자사주 매입 검토 소식에 16.85% 급등 마감했다.
증권업계는 차익 매물과 반발 매수의 싸움보다 이제는 실적에 주목하자고 전하며 실적 개선주 위주의 압축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 증시의 강세를 이끈 부분은 결국 법인세 인상 시기 지연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다국적 기업들과 대형 기술주로, 최근 상승이 컸던 금융과 반도체 장비 업종의 경우 차익 실현 매물 출회로 하락 한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서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상승 출발 후 상승폭이 컸던 종목군에 대해서는 매물 소화 과정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실적 기대가 높은 종목군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며 “수출 증가는 기업실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특히 오늘 발표되는 20일까지의 수출입 통계를 통해 증가세가 뚜렷한 업종군의 경우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씨티은행
- 2금호타이어, ‘휠얼라인먼트 전문 관리사’ 민간자격증 발급
- 3롯데온, 최대 규모 그룹 통합 페스타 ‘롯데 온쇼페’ 진행
- 4에르네스, 뉴질랜드 와인 ‘스톤베이 소비뇽블랑’ GS리테일 입점
- 5디딤365, 충남신용보증재단에 ‘클라우드 기반 통합 운영 환경’ 구축
- 6기장군, 외식업중앙회 기장군지부와 '기장역 이용활성화' MOU 체결
- 7IBK쇄신위원회 오늘 첫 회의 열고 내부통제 논의
- 8NH농협금융, 내부제보 활성화 추진…익명제보 접수채널 도입
- 9진에어, 항공 안전 강화 ‘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 도입
- 10현대차, 화성시와 교통약자 이동 개선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