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시장 서머리-2월5일] 경기 부양 기대감에 상승…S&P·나스닥 '사상 최고'

미 증시는 미국의 고용지표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경기 부양책 기대감이 지속된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상승. 특히,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재차 경신. (다우지수 +0.30%, 나스닥지수 +0.57%, S&P500지수 +0.39%, 러셀2000지수 +1.40%,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0.78%)
조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하는 1조9,000억 달러 규모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되며 증시 상승을 이끌었음. 미 상원과 하원은 이날 예산결의안을 가결했음. 예산결의안은 의회에서 과반의 동의만 획득하면 되는 예산조정권을 사용해 부양법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로, 공화당의 동의 없이도 대규모 부양책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임. 주요 외신들은 민주당이 이제 1,400달러 현금 지급 대상의 규정 등 구체적인 법안 마련에 착수할 것이라고 보도했음.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2주 내로 새로운 부양 법안을 상원에서 통과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언급했으며, 민주당은 기존 부양책의 실업급여 추가지원이 종료되는 3월 중순까지는 새 부양책을 도입을 완료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짐.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금융정보업체 레피니티브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 184곳 중 84.2%가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향후 실적에 대한 기대감도 상향 조정되고 있음.
코로나19 백신 관련 긍정적 소식도 전해짐. 존슨앤존슨(J&J)은 미 식품의약국(FDA)에 코로나19 백신 긴급사용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힘. FDA는 오는 26일 해당 백신을 평가할 전문가 회의를 개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짐. 존슨앤존슨 백신은 지난달 29일 국제 임상시험에서 66% 예방 효과를 나타냈다고 밝힌 바 있으며, 화이자, 모더나와 달리 1회만 접종하는 것으로 영상 섭씨 2∼8도의 실온에서도 유통할 수 있음. 긴급 승인이 이뤄지면 존슨앤존슨 백신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모더나에 이어 미국에서 세 번째로 사용 허가를 받게 됨.
다만, 이날 발표된 미 고용지표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임. 미 노동부가 발표한 1월 고용동향보고서에 따르면, 1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4만9,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를 다소 하회한 것으로 전해짐. 지난해 11월,12월 신규고용 수치도 하향 조정됐음. 다만, 1월 실업률은 전월 6.7%에서 6.3%로 낮아지며 시장 예상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임.
국제유가는 미 경기 부양책 기대감 등에 상승.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62달러(+1.10%) 상승한 56.85달러로 마감.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화학, 보험, 소프트웨어/IT서비스, 의료 장비/보급, 경기관련 서비스업, 제약, 경기관련 소비재, 에너지, 음식료, 금속/광업, 기술장비, 복합산업, 개인/가정용품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존슨앤존슨(+1.52%)이 코로나19 백신 FDA 긴급사용 승인 신청 소식에 상승했고, 에스티로더(+7.81%)는 호실적 발표 속에 큰 폭 상승. 게임스탑(+19.20%)은 로빈후드가 거래 제한을 해제한 가운데 급등. 반면, AMC 엔터테인먼트 홀딩스(-3.67%)는 하락. [제공=더원프로젝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상법 추가 개정시, 이사 7명 중 최대주주 몫 최대 3명 그쳐"
- 국민은행, 'KB희망금융센터' 연내 신설…"취약계층 재기 지원"
- 외국인, 지난달 코스피 6조 '쇼핑'…1년 5개월 만에 최대
- 소득세·상속세 중장기 과제로 밀리나…부동산세는 다음 순번?
- 보험도 '생산적 금융' 확대…첨단산업 투자 때 자본규제 완화
- 상폐 요건 강화하는 금융당국…'좀비 기업' 향방은?
- 신한투자증권, 글로벌 외환 핀테크 기업 '스위치원'과 MOU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신한금융 "장기연체 고객 이자 감면"…'헬프업&밸류업' 확대
- 2산업부, AI 기반 차세대 신약 설계·제조 R&D에 374억 지원
- 3중소·중견기업, 수출확대 위해 고려하는 신규시장 1순위 '미국'
- 4현대차, 넥쏘 비용 지원 프로그램…할부금 유예·충전비 지원
- 5"상법 추가 개정시, 이사 7명 중 최대주주 몫 최대 3명 그쳐"
- 6LG, 美 바이오 투자 가속화…투자액 5000만달러 넘어
- 7한국형 '수요응답형 교통' 헝가리 적용…현대차 사업 참여
- 8무보, LG화학 美 양극재 공장 건설에 10억달러 보증 지원
- 9국민은행, 'KB희망금융센터' 연내 신설…"취약계층 재기 지원"
- 10이철우 경북도지사 "허위 기반 수사 강력 반박...공무원 적극행정 흔들림 없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