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휘청’…본격 조정기 오나

[서울경제TV=양한나기자]
[앵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의 조기 금리인상 전망에 세계 원자재 시장이 휘청거리고 있습니다. 간밤 금값과 은값 뿐 아니라 구리, 백금, 팔라듐 등 금속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양한나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의 조기 금리인상 예고가 전해지자 세계 주요 원자재 가격이 일제히 급락했습니다.
간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4.7%(86.60달러) 급락한 1,774.8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난 4월 30일 이후 7주 만에 최저치입니다. 7월 인도분 은은 온스당 7% 떨어진 25.86달러에, 7월 인도분 구리는 파운드당 4.7% 내린 4.18달러에 마감됐습니다.
앞서 중국 정부가 금속 수급 안정을 위해 구리, 알루미늄 등 정부 비축분을 시장에 풀겠다고 밝힌 데 이어 미국이 2023년 두 차례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에이바트레이드의 나임 아슬람 수석시장분석가는 “금리인상 시간표의 공식 조정이 금값에 ‘긴축 발작’을 가져왔다”며 “투자자들로서는 이자를 주지 않는 자산을 보유하는 데 따른 기회비용이 증가하면서 금이 덜 매력적인 자산이 됐다”고 분석했습니다.
달러화도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날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전날 보다 0.78% 오른 91.91로 급등했습니다. 통상 미 달러화로 가격이 표시되는 원자재 상품들은 달러화 가치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입니다. 짐 폴슨 리트홀드그룹 회장은 “조기 테이퍼링으로 인해 미 달러화 공급이 줄어들면서 전반적으로 상품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고 전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급격한 상승세를 이어간 원자재 가격이 이번 기회에 조정을 받는다는 시각도 나옵니다. 릭 로스 에버코어 ISI 기술 애널리스트는 “구리가 2006년 이후 가장 과매수 수준에 이르렀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서울경제TV 양한나입니다.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 호실적 행진에도 킥스 ‘발목’…보험사 자본확충 부담↑
-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엔터·화장품·여행株 다 올랐다
- 교보증권, ‘2025 연간전망’ 유튜브 공개…"MZ세대 겨냥 콘텐츠 제공"
- 기업銀 7억 호주달러 캥거루채권 발행…역대 최고 흥행 기록
- 최상목 권한대행 "올해 가계부채 관리 방안 이달 중 발표"
- 광주은행, 자치구에 3억5000만원 특별출연…소상공인 지원 나선다
- 김소영 부위원장 "밸류업 정책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세훈 "절박한 심정으로 서울시 조기 추경"
- 2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경질…후임 곧바로 지명
- 3트럼프, 외국 디지털 규제 조사 대응…韓도 영향 받을까
- 4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5野지도부, '尹파면 촉구대회' 개최…이재명 "주권자 힘 보여달라"
- 6조태열, G20 계기 7개국 연쇄 양자 회담 개최
- 7시리어스펫, ‘2025 케이펫페어 수원’서 신제품 '슬개골 탄탄베드' 공개
- 8美, 패스트트랙 신설해 동맹 투자 확대
- 9트럼프 "우크라와 광물 합의 타결 임박"
- 10트럼프 "애플, 美에 수천억달러 투자 약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