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고평가 논란 딛고 1등 금융플랫폼 도약"
"국내은행 비교 불가”…공모가 논란 정면돌파
카뱅, 100% 비대면 주택담보대출 연내 출시
"중저신용자 대출 상품 등 포용적 금융 선보여"
카드·증권 사업 확대·해외 진출 등 성장동력 확보
'은행+플랫폼' 병행 시너지…넘버원 구축

[앵커]
하반기 IPO 시장의 대어로 꼽히는 카카오뱅크가 다음달 상장을 앞두고 청사진을 공개했습니다, 중복 청약이 금지되는 첫 공모주인데다, 몸값(공모가) 고평가 논란의 중심에 있어 시장의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카카오뱅크는 고평가 논란을 딛고 금융 전반의 혁신을 주도해 1등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카카오뱅크가 ‘고객이 가장 많이 찾는 1등 은행, 1등 금융 플랫폼’으로 거듭난다는 포부입니다.
단순한 은행이 아닌 플랫폼 사업자로 금융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겠다는 겁니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는 “혁신적인 기술, 강력한 플랫폼 파워, 카카오 생태계를 활용해 새로운 금융 경험을 선사하겠다”며 “기존 은행과는 영업이익 구조, 수익성 등 출발점이 다른 만큼 고객들이 반드시 이용해야만 하는 진정한 금융플랫폼으로 성장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기존 국내은행과는 비교가 불가하다고 선을 그은 건데, 공모가 고평가 논란을 정면돌파한 셈입니다.
우선, 카카오뱅크는 공모자금을 바탕으로 포용적 금융을 선보이겠다는 목표입니다.
중·저신용자 대출을 대폭 확대하고,신용평가모형 개선 등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출 신청과 실행 모두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주택담보대출을 올해 안에 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플랫폼 비지니스도 강화합니다.
1,600만 명의 이르는 이용자 트래픽을 무기로 카드사와 증권사 등 제2금융권과의 제휴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입니다.
이와함께, 마이데이터 산업과 해외 진출 등 신성장동력도 확보한다는 포부입니다.
한편, 카카오뱅크의 공모가 희망 범위는 3만3,000∼3만9,000원으로 오는 22일 공모가 확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예상 시가 총액은 15조 6,000억 원대~ 18조 5,000억 원대로, 국내 4대 금융지주 가운데 하나금융지주(약 13조원)와 우리금융지주(약8조원)을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hyk@seadaily.com
[영상편집 김현지]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엘브이엠씨, 최대주주 계열사 통해 지분 확대…"오버행 이슈 해소"
- 메리츠화재, 1분기 순이익 4625억, 전년比 5.8% 감소
- 메리츠증권, 1분기 순이익 1874억원…전년 동기 대비 48%↑
- 한화손보, 1분기 순이익 1427억원…전년比 14.3% 증가
- 정치테마주 72%, 30%이상 폭락…금감원·거래소, 공동대응 강화
- DB손보, 1분기 순이익 4470억원…전년比 23% 감소
- 경북교육청 외동도서관, 리딩캣·스마트카드북 도입
- 삼성화재 1분기 순이익 6081억원…전년比 13.2% 감소
- NH농협카드, 베트남 현지 프로모션 강화
- 신한카드, 하나투어와 함께 ‘스킵젠 투어’ 기획전 진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순창군, 전북사랑도민증 활성화 본격 추진…"생활인구 확대 나선다"
- 2임실군, 치매 예방 조기 검진 연중 실시
- 3최훈식 장수군수, 집중안전점검 대상시설 현장점검
- 4현대로템, 1분기 영업익 2029억원…전년 比 354% 증가
- 5컨츄리시티즌, 2025 올댓트래블 박람회 성료
- 6로엔서지컬, 서울대병원에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공급
- 7소진공, '대한민국 소상공인대회' 유공자 포상 접수
- 8엘브이엠씨, 최대주주 계열사 통해 지분 확대…"오버행 이슈 해소"
- 9한화오션, 인도·태평양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 구축
- 10메리츠화재, 1분기 순이익 4625억, 전년比 5.8% 감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