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남·부산, 1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된다”
국토부,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국가 선도사업’ 확정

[울산=허지혜기자] 동남권 3개 시·도(울산, 경남, 부산)가 광역철도를 통해 1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된다.
울산시는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7월 5일)’에 반영된 비수도권 ‘신규 광역철도 11개 사업’ 중 국토교통부 선도사업으로 확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는 총사업비 1조631억 원이 투입돼 총연장 50km(울산역~울산 무거~양산 웅상~부산 노포) 규모로 오는 2029년 완료될 예정이다.
이 노선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정관선 ▲양산 도시철도 ▲울산 도시철도 1호선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등 각 시·도의 도시철도와 주요 거점을 연결한다.
이번에 선정된 선도사업은 국토부가 내년까지 사전타당성조사와 예비타당성조사 신청 등 후속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함으로써 다른 사업에 비해 2~3년 정도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부·울·경은 비수도권 지역에서 가장 많은 800만 명의 인구와 380만 대의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지역 간 이동을 위한 광역철도는 없었다.
이들 지역 간 통행량은 연평균 2.8%(2010년~2018년)씩 증가하고 있고 교통혼잡 사회적 비용도 9.7조 원(2018년 기준)으로 비수도권 중 최고다. 특히 연평균 증가율은 6.4%(2014년~2018년)로 높아 광역철도 건설은 시급한 실정이다. 울산의 경우는 연평균 10.5%로 전국 7대 도시 중 가장 높게 증가하고 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지역 간 통행시간은 72분에서 1시간대 이내로 단축돼 동일 생활권을 형성함은 물론 인적·물적 교류 활성화로 경제공동체를 구축하게 될 전망이다. 또 고용창출효과 7800명, 생산유발효과는 1조9000억 원에 달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국가의 미래를 위한 균형발전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과제로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가 부·울·경 메가시티의 초석을 다지고 동남권이 대한민국 전체의 균형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blau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박균택 의원, 시민과 소통강화 '광산 동네한바퀴' 민생탐방 '눈길'
- 전남도, 독특한 매력 지닌 이색 회의장소 ‘유니크베뉴’ 공모 나서
- 광주 명품 특산물 ‘무등산 수박’, 옛 명성 되찾는다
- 기장군민축구단, 올해 K4리그 첫 데뷔전서 아쉬운 패배
- 김정오 박찬대 원내대표 정무특보, 담양군수 재선거 출마 행보 본격화
- 광주 북구, 대한민국 건강고령친화도시 정책대상 ‘우수상’ 수상
- 강기정 시장, 주한 일본대사와 우호협력 논의
- 광주 서구의회 임성화 의원, ‘청소년 복합체육시설’조성 제안
- 함평군‧전남도‧(주)동우, 67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 담양군수 재선거 유력후보 A씨…경선불복 ‘10년 후보 무자격’ 당헌에 발목잡히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