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칼날’…카카오, 타격 더 큰 이유는
"플랫폼 규제, 네이버 보단 카카오 타격 클 것"
카카오 일주일 새 20% 급락…장 중 12만원 붕괴
‘문어발’ 사업 확장 카카오…독과점 플랫폼 폐해
시장 독과점 → 유료화 → 수수료 인상
"네이버, 사업 확장 보수적…규제 리스크 제한적

[앵커]
플랫폼 규제 칼날에 네이버와 카카카오의 주가가 날개 없는 추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낙폭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 보다는 카카오가 규제 타격이 더 클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카카오의 주가가 장 중 12만원 선이 붕괴됐습니다.
막판 낙폭을 줄이긴 했지만, 일주일새 카카오 주가는 20% 넘게 빠졌습니다.
네이버도 가까스로 40만원선을 지켜냈지만, 오늘도 1.5% 하락했습니다.
일주일 새 12% 넘게 급락한 겁니다.
플랫폼주(株) 부진 장기화 우려가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카카오가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카카오가 골목상권 침해 논란의 중심에 서 있기 때문입니다.
카카오는 은행·핀테크 뿐 아니라 택시, 대리기사, 헤어샵 등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펼쳐왔습니다.
무료 서비스를 미끼로 시장을 독점한 다음 입점 업체나 소비자를 상대로 유료화 전환을 통화 수익을 극대화한 겁니다.
결국, 플랫폼 지배력 남용과 독과점 폐해 온상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입니다.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카카오택시는 전국 택시 기사의 80%가 넘게 사용하면서 압도적인 지배력을 확보했고, 카카오모빌리티가 수수료를 책정하면 택시와 승객은 이를 따라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라며 “결국, 지배적 지위의 부당 남용 여부 심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네이버는 상대적으로 사업 확장에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해 규제 리스크가 제한적이라는 평가입니다.
실제 네이버는 2014년 부동산 유료 서비스의 불공정 행위 정황이 불거지자 자체 매물 정보를 종료한 바 있습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연구원은 "네이버는 플랫폼 '라인'을 무기로 뱅크, 페이, 택시, 배달 등 사업을 하고 있으나 대만, 태국 등 주로 해외에서 한다"며 “금융업 또한 간편결제 매출이 97%에 달하고 증권·보험·대출 주선 및 중개는 하지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추가규제 우려로 언급되는 골목상권 이슈도 네이버 사업구조와 연관성이 낮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김현지/영상취재 오성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셀피글로벌 "주총서 가중결의 요건 불충족…해임안 미결의"
- 이화전기 M&A 나선 코아스, '냉각기간'에 발목 잡히나
- 대성파인텍 "9.81파크 제주, 개장 이후 최대 월간 판매액 달성"
- 영림원소프트랩, 전력거래소 'ERP 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
- BNK금융·한국해양진흥공사, 동남권 해양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 KB금융그룹, 데이터 활용해 수원시 소상공인 금융지원
- BNK부산銀·주택도시보증공사, 상생결제시스템 구축 나선다
- 하나금융·엔젤로보틱스, 미래전략산업 공동발굴 나선다
- 우진엔텍, APEC 바이어 초청 'K-원전 Biz 로드쇼' 참가
- "대내외 이슈 해소…韓 증시 '네 마녀의 날' 무난히 넘길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2025 경남영화영상아카데미, '구글 Veo3로 본 AI영상 제작의 현재' 공개 특강 개최
- 2해남군, 23일 LPGA대회 대비 보건·의료 신속 대응반 직무교육
- 3보령, 페니실린 생산기지 증축…“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성 강화하겠다”
- 4보성군, '클린600' 캠페인으로 아름다운 보성 만들기 앞장
- 5고려대 보건대학원 최고위과정, ‘헬스케어퓨처포럼 제4기’ 입학식 개최
- 6고창군, 청보리밭 축제 발전방안 간담회 개최
- 7美 뉴스위크 "세계 톱10 암병원…삼성서울 3위·서울아산 4위"
- 8고창군 등 5개 시·군, 서해안철도 국정과제 실현 '맞손'
- 9인천시의회 유경희, 부평 생활체육 확충 나서
- 10하남시, 정책모니터링단 강남 벤치마킹…시민 체감형 정책 모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