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갑상선 수술 후 흉터, 조기 치료하면 예후 좋아

최근 젊은 연령층에서도 갑상선 문제로 인해 수술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문제는 평소 옷으로 가릴 수 없는 목 부위를 수술해야 하기 때문에 흉터에 대한 부담을 피할 수는 없다.
수술을 잘 마쳤다 하더라도 눈에 띄는 흉터가 남는다면 심미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기 마련이다. 갑상선 수술은 보통 7~10cm 정도 크기로 절개 흉터가 남을 수 있는데 가느다란 붉은 흉터나 흰 흉터, 켈로이드 등 흉터의 양상도 다양하다.
하지만 조기 치료로 흉터를 제거한다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치료 시 표면의 굴곡 정도, 질감, 색소침착 여부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이뤄져야 한다.
다양한 치료 방법들 가운데 최근에는 다양한 장비들의 발달과 함께 레이저 치료가 주로 시행된다.레이져 치료는 변형된 섬유조직을 새로운 것으로 재생하는 치료로 레이저의 깊이와 간격, 세기 등을 조절해 변형된 섬유조직을 어느 정도 끊을지 결정해야 하기에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한 달 간격으로 3~5회 정도 시술하며 보다 높은 만족도를 위해 줄기세포, 자가혈 피부재생술 등을 함께 적용해볼 수 있다. 이밖에 붉은색을 띄는 켈로이드에는 루메니스원과 TC주사, 블레오마이신 등 주사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갑상선 흉터는 보기에는 비슷해 보여도 개인마다 다른 치료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어떤 방법으로 시술해야 할지 흉터 전문 병원이나 피부과에서 충분한 상담 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이상민 원장(아이러브피부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EGFR 변이 폐암에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요법…3년 생존율 60%"
- 중앙대병원, 로봇심포지엄 성료…로봇수술 최신지견 공유
- 난청과 헷갈리는 ‘성인 청각신경병증’ MRI 기반 진단 방법 나와
- 서울성모병원, 아태지역 첫 ‘단일공 비뇨기 로봇수술’ 1000례 달성
- 고려대 의대, 과기정통부 25개 과제 선정…연구비 45억 원 수주
- 이화의료원, 바스젠바이오와 업무협약 체결
- 암·치매 진단 5분 만에…강남성심병원, 3세대 디지털 PET-CT 운영
- '러닝 열풍'에 나도 도전? 약이 될 때, 독이 될 때
- '이상지질혈증 패싱'은 언제까지…고혈압·당뇨처럼 제도적 지원을
- 아리바이오, ‘경두개 음향진동자극’ 인지기능개선 결과 국제학술지 발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완도군, 서울·부천서 추석 앞두고 전복 깜짝 할인 행사
- 2장수군, '제19회 장수한우랑사과랑축제' 18일 개막
- 3'임실N치즈축제' 여행사 특별 지원…관광객 모객 박차
- 4임실군-기획재정부 자매결연 후 첫 교류…지역경제 활력 불어넣다
- 5신안군, 퍼플섬 아스타꽃 축제 3년 만에 개최
- 6순창 농특산물 온라인몰, 추석 특가 이벤트로 민생회복 나선다
- 7순창군, 한국관광정책대상 관광마케팅 부문 대상 쾌거
- 8고창군, 추석 앞두고 지역경제 회복 위한 맞춤형 지원 나서
- 9고창군, 행안부 신구 재해예방사업 2개 지구 선정
- 10경주 황리단길서 ‘황남 별별야시장’ 열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