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지속되는 명치 통증, 역류성식도염 의심

일상생활 속에서 갑작스러운 명치 통증을 경험하는 이들이 있다. 특히 쥐어 짜는 듯한 명치 통증, 타들어가는 듯한 흉통을 겪는 경우가 더러 존재한다. 만약 이런 증상이 지속된다면 소화기 이상 증세인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명치는 가슴뼈 아래 한가운데 오목하게 들어간 신체 부위다. 이러한 신체 특성 상 식도 등의 상부 소화기와 인접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식도에 염증이 발생할 경우 가까이 자리한 명치에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에서 분비된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로 넘어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히 식도는 위 대비 위산 방어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손상 가능성이 더 높다.
식도는 구강, 인후, 위 등을 연결하는 소화기관으로 음식이 음식이 입에서 위로 넘어가려면 식도의 연동 운동 역할이 필수적이다.
음식을 삼키면 가장 먼저 출입문 개념의 상부식도괄약근이 열리며,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인 연동운동이 발생한다. 위와 인접한 부위까지 음식물이 내려오면 하부식도괄약근이 열린다. 하부식도괄약근은 횡경막과 더불어 음식물이 상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문제는 어떠한 이유로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이 떨어져 음식물 역류를 막지 못 하는 사례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또한 하부식도괄약근에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과식, 과음 등에 의해 음식물의 역류 강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도 존재한다.
하부식도괄약근 기능 저하를 부추기는 요소로 구토하는 습관, 식후 누워 있는 습관, 과음, 과식, 비만, 임신 등을 꼽을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 발병 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흉통, 가슴 답답함, 목 내 이물감, 목소리 변화 등이 나타난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 및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으로 위내시경 검사가 있다.
역류성식도염으로 진단이 내려졌다면 식생활 개선 등의 보존적 요법 및 약물 치료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증상 정도가 심하다면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의 수술적 치료법을 시행한다.
중요한 것은 치료가 아닌 예방으로 식사를 마친 후 가급적 3시간 정도는 눕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저녁 식사와 수면 사이에 시간적 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득이하게 저녁을 늦게 먹었거나 야식을 먹은 경우라면 가벼운 산책 등으로 소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좋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신원식 원장 (일산하이병원 내과 전문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20년 기다림과 좌절… "두번의 신장이식으로 새 삶 선물"
- 로킷헬스케어, 300억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글로벌 임상에 사용
- 세계여자의사회 회장, 인천힘찬종합병원 공식 방문
- 유경하 이화의료원장, 사립대의료원협의회 회장 연임
- 연세사랑병원, 보건복지부 4주기 의료기관 인증 획득
-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베트남 품목허가 획득
- 서울대병원 “두 당뇨병 치료제 투여로 췌장 베타세포 노화 억제”
- 노인성 난청, 노화 탓만은 아냐… 청력 유전자 변이 기전 첫 규명
- ‘자동차보험 제도개편,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국회 토론회 개최
- 펩트론, 전립선암·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 품목허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마사회, 푸드뱅크 식품나눔 지원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 2한국마사회, '경마지원직' 채용 실시…27일까지 진행
- 3고흥군, 2025 고흥 드론 서머비치 페스타 개최…드론과 여름 바다 환상적인 만남
- 4진도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찾아가는 서비스’로 신속 지급
- 5한국콜마, 미국 2공장 본격 가동…"북미 최대 화장품 제조 허브"
- 6인천 미추홀구, 경로당에 '강화섬쌀' 공급
- 7고양특례시, "마음건강도시로 도약"...정신건강 ONE 통합
- 8윤환 인천 계양구청장, 민원 현장 점검
- 9BPA, '2025 사업장 보건관리 우수사례 발표대회' 최우수상 수상
- 10한국메나리니, ‘더마틱스’ 가품 유통에 인증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