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엑스, AI 기반 수소 생산 자율 운전 시스템 개발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바이오엑스는 10일 인공지능(AI) 기반 수소 생산 자율 운전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바이오엑스는 울산과학기술원과 유기성 폐기물 활용 고순도 그린수소 생성 기술력을 바탕으로 환경부에서 지원하는 70억원 규모 ‘바이오 수소 생산 통합전환공정 시스템’에 관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율운전 시스템 공동 연구개발 과제에도 선정됐다.
이번 공동 연구를 통한 최종 목표는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HAAMA 공정에 음식물류폐기물, 축산분뇨, 혐기성 소화조 폐액 등 유입기질 및 성상에 따라 인공지능이 자율적으로 공정운영인자를 제어한다. 제어한 결과에 따라 수소 생산량을 기존 대비 최소 10% 이상 수소 생산 효율이 증가되도록 강화학습 기반 HAAMA 자율운전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바이오엑스는 AI 기반 수소 생산 자율 운전 시스템을 전국에 설치하고 보급하면서 해외시장에 진출해 선점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점점 줄어드는 인력 시장에서 인재 발굴과 기술 개발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한 산·학·연 중심의 콜라보레이션을 진행 중이다. 울산과학기술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관과 협업을 통한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회사 측은 수소 생산 자율 운전 시스템의 개발로 국내 및 해외 시장 선점을 목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산·학·연 중심의 협력을 비롯한 울산과학기술원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과 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바이오엑스 관계자는 “최첨단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HAAMA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수소 생산량 및 순도 결과가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며 “이번 연구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 사장 진입을 위한 기술적 우위 확보와 동시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차세대 그린 수소 생산 시스템 기반까지도 마련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수소 시장 성장성은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전 세계 수소 시장이 오는 2050년 3,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최근 윤석열 당선인의 수소, 태양광 등 청정에너지 집중 육성 공약에 따라 국내 관련 시장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인사] 금융위원회
- 금감원, 美 관세 충격에 비상대응체계 가동…시장 안정 총력 대응 당부
- BNK금융, 美 상호관세 관련 긴급 금융시장 점검…위기상황관리위 가동
- 한투증권 "LG엔솔 1분기 '깜짝 실적', 지속 가능 여부는 미지수"
- DS투자 "SK바이오팜, 탄탄한 성장세 유지…美관세 우려 과다"
- NH투자 "카카오, 톡 개편 호재…자회사 개선세 주목"
- 메리츠 “한전, 방어주로서 가치…지금 최고의 주식 될 수도”
- KB금융, KB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여 스타트업 모집
- 신한투자 “독감·산불·눈 여파…손보사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 IBK기업은행·SKT 협업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정식 오픈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