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맥주, 라거 시장 진출…'카스·테라'에 도전장
"한국 맥주 2.0 쓰겠다"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에일 맥주 중심의 크래프트 맥주 대중화를 일으킨 제주맥주가 라거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제주맥주는 16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제주맥주 브루잉 데이 2022 ‘한국맥주 2.0, 비전과 포트폴리오’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한국 맥주 산업 미래 성장 동력 전략을 발표했다.
제주맥주의 첫 라거 맥주는 ‘제주라거 Project 001’이다. 부드러우면서도 역동적인 청량함으로 라거의 전형성과 제주의 하얀 파도를 담았다는 설명이다. 김배진 CPO는 “크래프트 맥주의 새로움을 즐기는 소비자는 물론, 기존의 라거 헤비 유저까지 사로잡을 수 있는 맛에 집중했다”며 “제주맥주의 마스터 브랜드 인지 효과를 고려했을 때 경쟁력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시장 리서치 기관과 협업한 제주맥주 자체 조사에 따르면 브랜드 런칭 4년 만에 ‘제주맥주’라는 마스터 브랜드에 대한 인지율은 약 90%에 달한다. 마스터 브랜드의 효과는 제주맥주 소속 제품들을 동시에 구매할 확률, 즉 동시 구매율이 편의점 판매 상위 10위권 타 맥주 대비 약 3배 가량 높다는 설명이다. 권진주 CMO는 “제주맥주는 ‘제주맥주니까 마셔봐야지’라는 말을 이끌어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크래프트 맥주”라며 라거 시장 진출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한편, 제주맥주는 한국 맥주 산업의 질적, 양적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제품 포트폴리오로 ‘캐주얼, 오리지널, 넥스트’를 제시했다.
캐주얼 라인은 맥주를 문화 콘텐츠로 만들겠다는 제주맥주의 포부를 담았다. 최근 맥주 산업을 지배하고 있는 외형만 바꾸는 굿즈형 맥주에서 나아가, 당대의 컬처 아이콘을 기민하게 담은 콘텐츠를 내놓겠다는 전략이다. 최근 선보인 캐주얼 라인은 QR 코드로 힙합 레이블 AOMG의 디지털 작업실을 경험할 수 있는 아워 에일 컬렉션과 성격 유형 검사를 맥주에 적용한 맥BTI가 있다.
오리지널 라인은 제주맥주의 근간이 되는 ‘제주 위트 에일, 제주 펠롱 에일, 제주 거멍 에일’이 포함된 브랜드 대표 제품 라인이다. 제주맥주 매출 비중 70%가량을 차지하는 오리지널 라인은 제품력을 강화한다. 제주 에일 시리즈에 사용되는 부가 원료를 제주산 햇원료 사용 순차 적용하고 합성향료 무첨가 원칙 등 양질의 원료를 사용하는 제품 정책으로 ‘좋은 맥주’에 대한 제주맥주의 철학을 강화한다. 여기에 못난이 농산물을 활용한 제품 개발 및 농가와의 지속적 상생이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검토 중이다.
넥스트 라인은 4캔 균일가 맥주 카테고리를 벗어나, 맥주를 미식의 주체로 전환하겠다는 혁신을 담았다. 제주맥주는 넥스트 라인에서 연내 4개의 브랜드를 선보인다. ▲초콜릿, 소금 등 식재료를 활용, 오크통에 숙성시키는 ‘배럴 F’, ▲와인 엔트리 유저를 겨냥한 스파클링 프룻 에일 ‘프루티제’를 비롯해, ▲소규모 양조 설비 ‘스몰 배치’를 활용, 제주에서 실험적으로 선보이는 ‘용감한 주방 프로젝트’, ▲비알코올 맥주 등을 준비 중이다.
조은영 COO는 “제주맥주는 기성 맥주 회사들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성장한 기업”이라며 “넥스트 라인 역시 한국 맥주 시장에 균열을 내고 미래 성장 동력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식품기업 CJ 제일제당과 미래 푸드컬처 선도를 위한 협업에도 나선다. 지난 12일 제주맥주는 최근 CJ제일제당과 전략적 업무 제휴를 체결했다. 양사는 싱글 이코노미 시대의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리딩을 위해 협업한다. 크래프트 맥주로 K-BEER의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는 제주맥주와 글로벌 K-FOOD대표 기업 CJ제일제당이 ‘식문화’라는 공통 키워드로 만난 것이다. 양사는 현재 분야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제주맥주는 크래프트 맥주 대중화와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며, 업계 최초 코스닥 상장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앞으로는 대한민국 대표 맥주 문화 혁신 기업을 목표로, 프리미엄 맥주 TOP5유지 및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문혁기 대표는 “지금까지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두 자릿수 성장률을 매년 유지해오고 있으며, 신규 제품 포트폴리오 전략을 통한 유의미한 행보에도 많은 기대 바란다”고 말했다.
오는 2024년부터는 K-BEER의 세계화에 주력한다. 제주맥주는 세계적인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첫 테스트 수출을 시작한 2019년부터 현재까지 동남아, 중국, 일본, 호주 등 해외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한국 크래프트 맥주 최초로 유럽 전역에 걸친 수출도 시작했다.
문혁기 대표는 “2024년부터 전 세계에 한국의 맥주 문화를 알리는 글로벌 사업을 본격 확장해, K-BEER의 대표주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dalov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밑 빠진 독에 물 붓기”…SK이노, 또 중복상장 논란
- ‘압·여·목·성’ 토허제 1년 더 연장…‘풍선 효과’ 확산 우려
- 트럼프발 관세 충격…현대차·기아 “가격 안올린다”
- 탄핵 선고 하루 앞둔 네카오…“트래픽 폭주, 전면 대응”
- 윌라, 현대백화점서 ‘리스닝 라이브러리’ 체험 공간 공개
- 에스토니아 비즈니스 허브, 친환경 에너지 사절단 방한 행사 성료
- 기아, LG전자와 맞손…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PV5 슈필라움’ 선봬
- 한국마사회, 2025년 신입사원 임용식 개최…창사 이래 최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협의회, 상위인증 완주군 방문…2025 정책 협력 논의
- 2무주군, 세계태권도 옥타곤다이아몬드·그랑프리 챌린지 유치
- 3진안군, 파크골프 전문기업과 손잡고 전국대회 추진
- 4전주시, 벚꽃길 특별노선 운영…전기 마을버스 하루 10회 운행
- 5전북자치도, 美 관세정책 대응 나서…도내 수출기업 보호 총력
- 6전북자치도, 중견기업-지역혁신 얼라이언스 공모 선정…국비 42억 확보
- 7전북도소방본부, 화재조사 매뉴얼 제작 착수…TF팀 운영
- 8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9‘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10“밑 빠진 독에 물 붓기”…SK이노, 또 중복상장 논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