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사, 인도 시장 공략…“캐릭터·감성 현지화”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중국에서 게임산업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자 게임업계가 인도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게임 캐릭터를 비롯해 감성을 현지화 하는 등 블루오션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도 시장에 속속 진출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김수빈 기잡니다.
[기자]
게임업계가 중국 시장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른 인도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인도의 게임 이용자 수는 약 6억2,000여만명.
인도 온라인 게임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19년 11억 달러에서 올해 28억 달러로, 연 평균 40% 성장할 거란 전망입니다.
국내 게임 업체들은 주 해외 시장이었던 중국 사업에 차질이 생기자, 인도를 비롯한 신시장 개척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인도에 독립법인을 두고 있는 크래프톤은 지난해 7월부터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디아'(BGMI)를 개발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버전은 지난달부터 인도 애플 앱스토어에서 게임 부문 매출 순위 1위, 구글 플레이에서 2위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싱크] 크래프톤 관계자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는 인도의 색깔과 문화에 맞는 다양한 아이템과 이벤트를 통해 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는데요. 또 인도 이용자들을 위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만의 e스포츠 대회도…"
넷마블도 인도 시장에서 순항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게임 '마블 퓨처파이트'가 이달 인도 구글플레이 스토어에서 한때 게임 매출 순위 16위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현지 게임 산업에 투자하며 간접적으로 진출하는 국내 기업도 있습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10월 인도의 성장단계 테크 및 플랫폼 기업 투자 파트너를 확보하기 위해 합자회사에 120억원을 투자하기로 계약했습니다.
같은해 11월에는 인도 게임 스타트업 투자 파트너 확보를 위해 300만 달러를 펀드에 투자한 바 있습니다.
중국 수준으로 인구가 많은 인도에서 디지털 인프라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만큼, ‘K-게임’이 이 시장에서 성공할지 주목됩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전도유망한 인도 시장은 게임 구매력이 타 선진국에 비해 낮은 만큼, 장기적으로 접근해야한다는 조언을 내놓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채민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포스코, 5년간 1만5000명 채용…그룹사 공채 확대
- KODA, 롬바드 파이낸스와 한국 기관 대상 비트코인 수익 상품 협력 추진
- 시하기획, 콘텐츠 기반 고용 창출 성과로 고용노동부장관상 수상
- 스포츠관광마케팅협회, WWF와 서울어스마라톤대회 개최
- CJ푸드빌, 서울중부경찰서와 ‘치매 극복의 날’ 기념 봉사 진행
- 11번가, 신한은행과 전략적 제휴...특화 금융상품 등 혜택 강화
- 현대백화점, 글로벌 패션 브랜드 ‘에이프’ 독점 판권 계약
- [속보] 삼성전자 "향후 5년간 6만명 신규 채용"
- 핌즈, 물류센터 특화 물류로봇 솔루션 개발 ‘물류로봇연구소’ 개소
- '3000억원 횡령' 박삼구 前금호 회장, 2심서 집행유예 감형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스코, 5년간 1만5000명 채용…그룹사 공채 확대
- 2목포시의회, 의회 공무국외연수 예산 전액 반납
- 3고흥군, 고향사랑기부금 10억 원 돌파…답례품 효과 '톡톡'
- 4KODA, 롬바드 파이낸스와 한국 기관 대상 비트코인 수익 상품 협력 추진
- 5보성군, 22일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소득 상위 10% 제외
- 6시하기획, 콘텐츠 기반 고용 창출 성과로 고용노동부장관상 수상
- 7남원 사회적경제, 추석 맞아 특산물 선물세트 50여 종 선봬
- 8아이들의 꿈, 원주의 미래로…교육복지 혁신사업 전국 모델로 확산 기대
- 9우리은행 '청년 금융교육' 서울에서 지방으로 확대한다
- 10조석훈 목포시장 권한대행,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성공 기원 릴레이 동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