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회전근개 파열 원인과 치료법은

장시간 앉아서 일해야 하는 생활 패턴을 가진 직장인들은 어깨가 자주 뻐근하고 통증이 이어져 불편함을 느끼기 쉽다. 대표적 부위인 ‘회전근개’는 팔을 들어올리고 회전 운동을 돕는 신체 기관으로 4개의 힘줄을 통틀어 부른다. 힘줄이 퇴행하고 반복적인 마모, 외상으로 인하여 힘줄이 파열된 경우를 회전근개가 파열됐다고 부르는데 망가질 경우 정상적인 힘줄 구조가 비정상적인 구조로 변하게 된다.
회전근개 파열의 대표적 원인은 직장인들과 같이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과격한 운동, 잘못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하는 등의 행동으로, 2~30대 젊은 환자부터 중년층까지 연령을 불문하고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팔을 앞이나 옆으로 올릴 때 또는 운동 후, 잠잘 때 심해지는 경향을 띄며, 팔을 들어올리고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면 증상을 의심하고 치료받아야 한다.
회전근개 파열의 치료는 파열의 크기나, 통증 정도 등 환자의 상태를 X-ray, MRI 등 정밀 검사를 통해 확인 후 진행해야 한다. 증상이 시작된 기간이 짧거나 심하지 않은 파열감을 느끼는 경우라면 인대 강화 주사나, 충격파 치료 등을 통해 손상된 부위를 치유하고 혈류 공급 개선을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완전파열로 진행된 경우 또는 비수술적 치료로도 반응하지 않는다면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회전근개 봉합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권장된다. 질환을 방치할 경우 파열의 크기가 커지고 근육이 변형되어 봉합이 어려워질 수 있어 빠른 진단으로 증상을 호전할 필요가 있다.
특히 회전근개 파열은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한 만큼 만약 3~4주 이상 어깨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의를 통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고령의 환자 또는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들이라면 절개 없이 치료를 진행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평소 꾸준한 운동을 통해 어깨 관절을 강화하고 충분한 준비 운동 후 어깨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 등을 기억하고 움직인다면 질환을 예방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정성훈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센터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 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한국문화정보원-법무법인 유연, 법률 자문 협약
- "가짜 팬후기"…'뒷광고' 카카오엔터 과징금 3억9000만원
- 의총협 "35개교 휴학계 반려 완료…나머지도 반려 예정"
- 한중일 외교장관회의 1년 4개월 만에 재개…협력 의지 다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항공-美 안두릴, 유·무인 복합능력 향상 위해 ‘맞손’
- 2서거석 전북도교육감, 학원장들과 불법과외 근절 대책 논의
- 3남원시, 지방소멸 극복 선도…청년·출산·정주 정책 '성과 눈에 띄네'
- 4전북자치도교육청, 직업계고 취업로드맵 개발·보급
- 5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김기문 제이에스티나 회장 기소
- 6“주민 지지 없인 통합 불가”… 유희태 완주군수, 지방시대위 결정에 강경 입장
- 7장흥군, 상반기 사료구매 자금 96억 원 지원
- 8완주군의회 "주민공감대 형성 없는 통합 의미 없어"
- 9무주군, 고품질 쌀 생산에 15억 투입…1,591농가 육묘·상토 지원
- 10보성군, 귀촌형 사업 ‘전남에서 살아보기’ 본격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