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소상공인‧중기 ‘10년 분할 상환’ 프로그램 가동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KB국민은행이 ‘최대 10년 코로나19 특례운영 장기분할 전환프로그램’을 시작한다. 이번 전환프로그램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만기연장을 최대 10년간 늘려주는 연착륙 방안인 만큼 전 은행권에서 금융지원 연장이 확산될지 관심이 모인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최대 10년동안 빚을 나눠 갚은 수 있는 전환프로그램을 지난 20일부터 시작했다. 적용대상은 2020년 4월 이후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상으로 운영된 만기연장, 이자 상환유예 등의 기업 여신(대출) 특례 지원을 한 차례 이상 받은 대출자(계좌)다. 대상자는 원금 균등분할이나 원리금 균등분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앞서 신한‧하나‧우리은행도 비슷한 전환프로그램을 내놓고 운영 하고 있다. 다만 10년간 장기 전환 방식을 내놓은 것은 국민은행이 처음이다. 은행권은 10년 만기까지가 아니더라도 1년에서 최대 5년까지 상환을 유예하는 등 원금과 이자 부담을 덜어주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이처럼 시중은행들이 분할상환 프로그램을 앞다퉈 내놓고 있는 것은 오는 9월로 예정된 소상공인‧중소기업의 원금 만기 연장·이자 유예가 끝난 이후 마땅한 대책이 없어서다. 금융권에서는 금융지원 종료가 끝나면 대출부실이 급격하기 늘면서 금융권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현재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금융지원 실적을 보면 올해 1월말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연장한 대출과 이자 총액은 139조원에 달한다. 은행권에서는 이 금액의 상당수를 사실상 잠재 부실로 보고 있다.
은행권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본격화 하면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대출원금 만기와 이자 상환을 유예하는 조치를 취했다. 지원은 당초 그해 9월까지 한시적 조치였지만 코로나19 여파가 길어지면서 6개월씩 4차례 연장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거리두기도 사실상 끝난 상황이고 은행권에서는 더이상 추가 연장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며 "현재로서는 최장 만기연장을 통해 한번 더 유예하겠지만 상황에 따라 구조조정도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바이낸스 고팍스 인수 가시화…코인 거래소 판도 바뀌나
- “스타벅스 말고 올리브영”…상권의 ‘앵커’가 바뀌고 있다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하나금융, 5년간 100조 투입…금융 대전환 선봉에
- 10만전자·50만닉스 눈앞…투톱 시총 1000조 시대 여나
- 원자력 르네상스 온다…한화운용 원자력 ETF 수혜 전망
- [부고] 선창훈(한양증권 자본시장1부 상무)씨 부친상
- 코아스, 부실기업만 골라 출자? 수상한 투자 행보
- 케이쓰리아이, '재팬 IT 위크' 참가…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 대진첨단소재, 37년 경력 전문가 '김기범 신임 대표이사' 선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IWPG 원주지부, 평화공감 좋은말 캠페인 진행
- 2스타벅스, 패션 플랫폼과 손잡고 고객 접점 넓힌다
- 3한국마사회,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경영 인증 3년 연속 유지
- 4한국마사회, 경주마 유전능력평가 서비스 '마이K닉스' 시행
- 5세븐일레븐, 한부모가족 응원 위한 2025 모두하나대축제 참여
- 6GS25, ‘건강기능식품’ 흥행 가도…’밀리언셀러 등극 눈앞’
- 7LG, '디오스 AI 오브제컬렉션 김치톡톡’ 출시
- 8SKT, 국제사회와 책임 있는 AI 논의 확대
- 9쿠팡, 가을맞이 ‘세일 페스타’…15개 카테고리 6만여개 상품 선봬
- 10‘롯데 러브 패밀리 페스티벌’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