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월세 최대 세액공제율 15%로 확대 검토
월세 최대 세액공제율 12→15% 내외로 확대
총급여 7,000만원→10%, 5,000만원→12% 세액공제
'전세자금대출 소득공제 한도 늘리는 쪽으로'
업계 "임차인 지원책에 대한 효과 있을 것"
임대인에겐 세제 인센티브 부여…공급 안정화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앵커]
정부가 월세비를 돌려주는 세액공제 확대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내일 대책 발표에 포함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자세한 내용 이지영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무주택자들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을 계획 중입니다.
먼저 무주택자의 전·월세 거주자들의 부담을 낮추겠다는 입장입니다. 월세액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현행 최대인 12%에서 최대 15% 내외까지 상향하는 내용을 검토한다는 겁니다.
총급여액이 7,000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가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주택에 월세로 거주할 경우, 월세액(연간 750만 원 한도)의 10%까지 세금에서 공제받을 수 있고, 총급여액이 5,500만 원 이하인 경우엔 최대 12%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또 전세자금대출 원리금 상환액에 대한 소득공제 지원을 확대하겠단 방침입니다.
현재 무주택 세대주가 주택을 임차하기 위해 돈을 빌렸다면, 원리금 상환액의 40%(연간 300만 원 한도)까지 소득공제가 가능한데, 이 중 공제 한도를 늘리는 방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에선 임차인들의 지원책에 대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오는 8월에 계약갱신청구권 만기가 돌아오면서, 집주인들이 앞으로 4년 동안 올리지 못하는 전·월세 값을 크게 올릴 수 있는 것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김효선 NH농협은행 수석전문위원
"그때 일부 인기 있는 지역들은 전셋값이 오르거나 아니면 일부가 월세로 전환되는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되다 보니까 당장 공급을 늘리기는 어려워서 올라가는 전세나 월세 금액들을 일부 세액 공제받을 수 있는 지원책을 확대하는 것으로는 효과가 있을 것 같아요."
뿐만 아니라 전·월세 시장에서 임대사업자에게 세제 인센티브를 부여해 안정적인 공급도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부가 공급을 확대한다 하더라도 당장 하반기에 즉시 입주할 수 있는 주택이 나오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T, 고객 잡아라…'스타벅스·파리바게뜨' 릴레이 할인
- 폭염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정부, 배추·과일 등 물가 관리 총력
- 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쿠팡 로켓배송,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성장 이끌어
- 포스코, 사우디 아람코 플랜트에 HIC 강재 첫 납품
- 대우건설, 천호동 532-2 일대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
- 수도권·지방 격차 확대…전셋값 양극화 심화
- 상반기 LCC 국제선 탑승객, 대형항공사 3년 연속 추월
- LG유플러스, 한전과 맞손…1인가구 돌봄사업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SKT, 고객 잡아라…'스타벅스·파리바게뜨' 릴레이 할인
- 2하이원리조트 여자오픈 2025, 방신실 최종 우승
- 3폭염에 장바구니 물가 비상…정부, 배추·과일 등 물가 관리 총력
- 4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5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6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7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8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9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10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