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민간기록물 공모전 수상작 '열기 가득'
'백범 김구 선생 이리 방문' 대상 작품 등 ‘익산 현대사 담긴 앨범’ 선정

[익산=이인호 기자] 전북 익산시가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 수상작 29점을 최종 선정했다.
시는‘익산교육의 발자취, 기록으로 말하다’라는 주제로 개최한 제2회 민간기록물 공모전 수상작 선정을 위한 심사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그 결과 대상 1명, 최우수상 2명, 우수상 3명, 장려상 23명 등 총 29명의 수상자가 선정됐다.
대상에 해공 신익희 선생 장례 사진(1956년), 백범 김구 선생 이리 방문 기념사진(1946년), 조병옥 박사 이리 방문 사진(1956년) 원본이 담긴 앨범이 선정됐다. 해당 앨범은 익산의 근현대사와 관련된 중요한 사진 기록으로 평가받았다.
함열향교 관련 기록물과 1940년대 금마국민학교(현 금마시장) 사진, 1965년 해체 보수 이전의 왕궁리 유적을 알 수 있는 왕궁리 유적 소풍 사진 등은 최우수상에 선정됐다.
우수상은 1947년부터 1984년까지 왕궁면 동룡리 마을의 장례를 알 수 있는 장의계록(葬儀契錄)과 1932년 익산군 최초의‘익산군지, 성리학의 기본원리를 그림을 붙여 풀이한 권근의 ‘입학도설’ 사본 등이 선정됐다.
장려상은 구 호남병원 상량문 현판과 호남병원 옛 사진, 일제강점기에 인쇄된‘금마지’, 이리양로재 회칙 및 이리양로재안, 원광대학교 신문 및 이리학보 등 다양한 기록물이 선정됐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 3월부터 약 3개월간 진행됐으며 83명 참여해 2천81점이 접수되었다. 첫 번째 민간기록물 수집 공모전 전시회 개최 이후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3배 이상의 기록물이 수집되었다.
접수된 기록물은 전문가 1차 심사를 거쳐 익산시 민간기록관리위원회에서 심도 있게 평가해 최종적으로 29점이 선정됐다.
대상 100만원, 최우수상 50만원 등의 상금이 수여되며 수집된 기록물은 항온‧항습 시설이 갖춰진 익산시 수장고에 안전하게 보존된다. 시상식은 오는 10월 개최되며 익산예술의전당 미술관에서 수집된 기록물 전시회도 열릴 예정이다.
민간기록관리위원회 관계자는“공모전을 통해 익산의 교육을 알 수 있는 기록물이 짧은 기간 동안 많이 수집돼 매우 뜻깊었다”며“긴 세월 동안 소중하게 보존하고 공모전에 기증해주신 시민들께 다시 한번 감사를 전한다”고 평가했다.
정헌율 시장은“익산의 교육과 지역사회를 한눈에 알 수 있는 기록이 접수된 점은 이번 공모전의 가장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며“시민들의 소중한 기록과 기억이 모여 익산의 고유 콘텐츠로 재생산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k961302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남원시의회, 광복 80주년 맞아 만인정신 계승 의지 다져
- 영남대병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8회 연속 1등급 획득
- 2025 황룡강 가을꽃축제, 해바라기 심기 행사로 성공 기원
- 창립 40주년 고창농악보존회, 전승·확산 중심지로 자리매김
- 영덕군 해수욕장 일제 폐장...38일간 인명사고 ‘제로’
- 대구행복진흥원, 청년문화축제 ‘iM 청춘페스타’ 개최
- 대구행복진흥원, 성주류화 제도 확립 위한 시‧구‧군 담당 공무원 및 컨설턴트 워크숍 개최
- 김기웅 의원, 대구 3차 순환도로 30년 숙원...정부 조속 해결 촉구
- 영남대, 인공와우 부작용 줄이는 ‘마이크로 3D 약물 임플란트’ 개발
- 고창갯벌, 바다 쓰레기 줍기 대회 참가자 모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의회, 광복 80주년 맞아 만인정신 계승 의지 다져
- 2영남대병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8회 연속 1등급 획득
- 32025 황룡강 가을꽃축제, 해바라기 심기 행사로 성공 기원
- 4KGC인삼공사, 생명연과 MOU 체결…오가노이드 기반 기술 개발
- 5비긴스 바이 정샘물, 투어스와 신규 캠페인 공개
- 6가스공사, 상생결제 도입으로 공정경제 기반 조성 앞장
- 7HS효성 임직원, '사랑의 헌혈'로 나눔 실천
- 8에너지공단, '기후행동 우수사례 설명회' 개최
- 9창립 40주년 고창농악보존회, 전승·확산 중심지로 자리매김
- 10고려대 고령사회연구원, '초고령사회와 디지털 전환' 국제심포지엄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