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61%가 2030…1년만에 39조 늘어

[서울경제TV=최재영기자] 시중은행 전세자금 대출 가운데 61%가 20대~30대 세대인 이른바 2030으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빌린 전제자금대출 잔액은 96조원으로 10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현황을 보면 올해 4월말 기준으로 2030 차주는 81만6,353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연령대 차주(133만5,090명)의 61.1%에 달하는 규모다.
전세자금 잔액 증가속도 역시 빨라졌다. 2030이 지난해 12월말 기준으로 빌린 전세대출 잔액은 94조1,757억원으로 1년전 같은 기간보다 39조4,376억원(72%)이나 늘었다.
올해 들어서는 증가세가 더욱 뚜렷해졌다. 4개월만에 2조1,915억원(2.3%)이 불어 96조3,67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런 흐름대로라면 상반기 집계에서는 100조원을 넘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진선미 의원실]
우려스러운 점은 전세대출 대부분이 변동금리라는 점이다. 전세대출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는 올해 6월말 현재(신규취급액 기준) 2.38%로 전월 보다 0.4%포인트 증가했다. 전년동기(0.92%) 대비 두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계속 인상할 것으로 예고한 만큼 전세대출 금리 부담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진 의원은 “전세대출 이자부담 증가로 취약계층 주거환경 악화로 이어질 것이 우려된다”며 “실수요자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SK하이닉스, 닷새째 오르며 첫 50만원 돌파
-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성황리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제나노칼슘, 대한임상보건학회 '칼슘 부문 최우수 기업' 선정
- 2쿠팡 CLS "퀵플렉서 2명 중 1명, 3일 연속 휴가"
- 3진도군, 고명환 작가 초청 '군민행복 아카데미' 23일 개최... 고전서 찾은 '진정한 행복'
- 4청년이 돌아오는 보성군, '주거·일자리·성장' 맞춤형 정책으로 활력
- 5LG유플러스 대표 "해킹 피해 신고하겠다" 입장 밝혀
- 6KAI, 국내 주요 방산 3사와 KF-21 수출 경쟁력 강화 위한 MOU
- 7동두천시, ‘헬로 DDC 페스티벌’ 11월 1일 개막
- 8의정부시, 가을 하천 따라 달린다…‘전국 마라톤대회’ 25일 개최
- 9양평군, 지역상생 직판행사서 도농 상생 비전 제시
- 10인천여성가족재단, 새 정부 정책 변화 반영...지역 성평등 모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