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美 계열사 베리스모, 차세대 CAR-T 임상 1상 시작
내년 1분기 펜실베니아 대학 병원서 환자등록 시작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HLB는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 테라퓨틱스(이하 베리스모)가 FDA로부터 CAR-T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 1상 IND 승인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베리스모는 1상 임상을 통해 메소테린이 과발현된 난소암과 중피종, 담관암 등 3개 적응증을 대상으로 KIR-CAR 플랫폼 기술로 만든 최초의 치료제인 SynKIR-110의 안전성, 내성, 예비 효능을 평가한다. 환자 등록은 내년 1분기 펜실베니아 대학병원에서 시작한다는 예정이다.
베리스모가 개발한 KIR-CAR 플랫폼은 기존 CAR-T 치료제의 한계를 뛰어 넘은 기술로, NK면역세포의 수용체 구조와 유사한 멀티체인 수용체를 T세포에 발현시켜 혈액암 뿐만 아니라 각종 고형암에도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실제 세계 최초 CAR-T 치료제인 노바티스의 ‘킴리아’ 개발팀이 전임상을 진행한 결과 마우스 모델에서 암세포가 사라지는 등 고형암에 대한 약효가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베리스모의 CEO 브라이언 킴 박사는 “KIR-CAR 플랫폼은 T세포가 종양에 결합하지 않을 때는 쉴 수 있도록 일종의 ON/OFF 스위치를 제공해 ‘T세포 탈진’을 줄이는 한편 세포표면 안정성을 높여 고형암의 미세환경에서 면역세포의 성능을 향상시킨다”며 “KIR-CAR 플랫폼은 장기적으로 미충족 수요가 높은 분야의 환자들에게 더 나은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핀다, '소상공인 컨설팅 생태계 확장' 업무협약 체결
- 삼성화재, 모니모 전용 암 보험 '다시 일상으로' 출시
- 카카오뱅크·전북은행 공동대출,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 이복현 금감원장 사의 표명…“부총리·한은 총재 만류”
- 法 “교보생명, ICC 강제금 효력 없다”…풋옵션 새국면
- ETF 수수료 ‘꼼수’ 쓴 운용사들…당국, 결국 칼 뺐다
- 금감원, PEF 대대적 검사한다지만…MBK ‘맹탕 검사’ 우려
- 크라토스 “전국 남녀 30% 이상 AI 관상·운세 어플 경험”
- 코스피 상장사 작년 영업익 62% 급증…흑자기업도 증가
- 화재보험협회, 대형산불 피해 복구 성금 2000만원 기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주항공, 항공기 엔진 교체…"안전운항 강화"
- 2핀다, '소상공인 컨설팅 생태계 확장' 업무협약 체결
- 3이재용, 글로벌 경영 행보… 中 이어 日 '출장길'
- 4美, FTA 맺은 韓에 25% 상호관세…철강·자동차·반도체 '예외'
- 5삼성화재, 모니모 전용 암 보험 '다시 일상으로' 출시
- 6카카오뱅크·전북은행 공동대출, 금융위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 7대한상의 "美 대중국 디커플링 해운정책은 기회... 대형 물류기업 육성 시급"
- 8김석준 부산시교육감 당선…51.13% 득표율 기록
- 9고양국제꽃박람회, 국제인증전시회 획득
- 10전남 재선거 당선자 정철원·이돈견·김재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