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證 “LG이노텍, 확장현실 최대 수혜주…글로벌 독점적 공급구조”

[서울경제TV=최민정기자] KB증권은 11일 LG이노텍에 대해 “확장현실 최대 수혜주”라고 분석했다. 다만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따로 제시하진 않았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2023년 1월 5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23의 최대 화두는 메타버스 구현이 가능한 확장현실 (XR) 헤드셋이 될 전망”이라며 “CES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메타버스 분야에서는 메타 (Meta), 마이크로소프트 (MS), 구글 (Google), 아마존 (Amazon) 등이 메타버스 가상세계의 혁명을 소개하고 다양한 XR 헤드셋을 대거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11월 10일 해외 IT 매체인 디지타임즈에 따르면 애플의 첫 번째 확장현실 (XR: Extended Reality) 헤드셋은 내년 1월 공개 후 3월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해 4월부터 본격 출시할 것으로 전해졌다”며 “애플의 XR 헤드셋은 가상현실 (VR: Virtual Reality), 증강현실 (AR: 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 (MR: Mixed Reality) 기능을 합친 것으로 시각, 청각, 촉각 기능 등이 탑재되어 현실세계를 3D 입체영상으로 구현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김동원 연구원은 “2024년 글로벌 XR 시장규모는 185조원으로 연평균 77%의 폭발적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또한 XR 헤드셋 출하량은 2021년 1,100만대, 2022년 3,000만대, 2025년 1억대를 상회하고 2030년 이후에는 10억대 규모까지 확대돼 글로벌 스마트 폰 시장규모 (12억대)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메타버스 XR 헤드셋의 경우 현실세계를 3D 입체영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3D 센싱모듈 탑재가 필수”라며 “LG이노텍은 글로벌 3D 센싱모듈 시장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글로벌 독점적 공급구조를 확보하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그는 “LG이노텍의 3D 센싱모듈 매출은 2021년 2.8조원, 2023년 5.2조원, 2025년 7.6조원으로 추정돼, 향후 메타버스 XR 시장개화와 더불어 4년 만에 약 3배 성장할 전망”이라며 “현재 LG이노텍 주가는 역사적 저점 밸류에이션을 고려하고 있어 내년 사상 최대 실적 전망과 XR용 3D 센싱모듈의 독점적 공급구조를 고려하면 절대적 저평가 상태로 판단된다”라고 덧붙였다./choimj@sedia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배당 분리과세 기대↑…활짝 웃는 지주·통신·금융株
- IPO 삼수생 케이뱅크, '밸류에이션'이 최대 난관
- 檢, 롯데카드 압색…사모펀드發 유동화 구조 도마
- 케이지에이, 양극재 수계공정화 사업 속도…해외 시장 공략
- 주담대 변동금리 3년 만에 최저…6월 코픽스 0.09%p↓
- 엑시온그룹 “디지털금융 본부 신설…다각화 드라이브”
- 시지트로닉스, 'APD 센서 기반 파운드리 서비스' 본격 실시
- 미래에셋증권, 2분기 퇴직연금 적립금 3조 이상 유입
- iM뱅크, 아동-청소년 전용 금융 서비스 ‘iM- i 용돈카드’ 출시
-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코리아리레이팅 펀드’ 모집액 100억원 돌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지주택 제동?…서희건설 ‘도시정비’로 시장 공략 속도
- 2SK하이닉스, 2분기 장밋빛 실적 전망…“역대급 영업익”
- 3배당 분리과세 기대↑…활짝 웃는 지주·통신·금융株
- 4“포스코 공장팔고, 동국제강은 셧다운”…위기극복 안간힘
- 5IPO 삼수생 케이뱅크, '밸류에이션'이 최대 난관
- 6LG엔솔·GM 美 합작사, LFP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
- 7檢, 롯데카드 압색…사모펀드發 유동화 구조 도마
- 8‘슈링크’로 뜬 클래시스…대주주 3년 만에 투자금 회수?
- 9‘자동차보험 제도개편,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국회 토론회 개최
- 10펩트론, 전립선암·성조숙증 치료제 '루프원' 품목허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