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정보원 "올해 문화생활 누린만큼 소득공제로 돌려받으세요"

[서울경제TV=장민선기자] 한국문화정보원은 연말정산과 관련해 문화비 소득공제에 대하여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주요 내용을 소개했다.
문화비 소득공제는 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를 대상으로 도서 구입비, 공연 관람비 및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종이 신문 구독료에 대해 최대 100만 원 한도 내에서 연말정산 시 추가로 소득공제를 해주는 제도다.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에서는 ‘도서‧공연 등 사용분’으로 조회된다.
문화비 소득공제에 해당하는 상품은 다음과 같다. 도서의 경우 ISBN 코드가 978, 979로 시작되는 도서와 ECN이 있는 전자책이 가능하다. 공연의 경우 공연 및 비대면 온라인 공연 생중계 티켓이 가능하며, 박물관·미술관은 입장권 및 당일 입장에 유효한 일일 교육 체험비가 포함된다. 신문은 일간지, 주간지 등 종이 신문에 대한 구독 비용이 가능하다. 단, 도서·공연의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구독형, 스트리밍 비용 등은 해당되지 않는다.
문화비 소득공제는 근로소득자가 별도의 신청 없이 한국문화정보원의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 등록된 사업자에게 해당 상품을 구매했을 경우 자동으로 적용 가능하다. 등록 사업자는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네이버, 인터파크, 교보문고 등 대다수의 온·오프라인 쇼핑몰들이 등록하고 있다. 단, 쿠팡, 티몬 등 문화비 소득공제 누리집에 등록되지 않은 쇼핑몰에서 구매할 경우 문화비 소득공제 혜택을 적용받지 못한다.
등록된 사업자에게 대면 및 온라인 결제(카드, 현금, 간편결제 등)의 경우 모두 문화비 소득공제 적용이 가능하나, 일부 문화비 소득공제용 카드가맹점 번호 누락 등의 이유로 연말정산 시스템에 문화비 소득공제 반영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법에 따라 거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를 재직하는 회사의 방침에 따라 제출하면 적용할 수 있다. 증빙자료는 구매한 사업장 또는 카드사에 문의하면 된다.
이러한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는 2023년도에 확대될 예정이다. 기존 전통시장(100만 원), 대중교통(100만 원), 문화비(100만 원)으로 나눠져 있던 한도를 통합하여 최대 300만 원(전통시장, 대중교통, 문화비)한도가 적용될 예정이다. 또한 7월 중에는 영화관람료도 소득공제가 추가될 예정이다.
현재 한국문화정보원은 연말정산 기간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에 대하여 궁금한 근로소득자를 위해 누리집 및 고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jja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경협, 중기부와 ‘소상공인 성장지원 프로젝트’ 맞손
- 유라, 트레이더스와 업무 협약 체결
- '위믹스 유통량 조작 논란' 장현국 전 위메이드 대표 1심 무죄
- SK키파운드리, LB세미콘 '맞손'…"다이렉트 RDL 공동 개발"
- 제나벨, 英 드럭스토어 ‘부츠’ 엑스퍼트 스킨케어 카테고리 입점
- 법률사무소 심우, 음주교통사고 대응 전담 부서 공식 개소
- SKT, 갤Z폴드·플립7 사전 예약…"티빙 3개월 이용권 등 혜택"
- KT, 2025년 2분기 배당 600원…전년비 20% 증가
- KT스카이라이프, 고화질 IPTV 신상품 '아이핏 TV' 출시
-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성결대와 ‘물류 인재 양성’ MOU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미래에셋증권, 2분기 퇴직연금 적립금 3조 이상 유입
- 2해남군, 어르신 안심 여름 위한 촘촘한 폭염 돌봄 안전망 구축
- 3iM뱅크, 아동-청소년 전용 금융 서비스 ‘iM- i 용돈카드’ 출시
- 4한경협, 중기부와 ‘소상공인 성장지원 프로젝트’ 맞손
- 5유라, 트레이더스와 업무 협약 체결
- 6신안군, 고수온 주의보 발령에 양식어가 피해 최소화 총력
- 7'위믹스 유통량 조작 논란' 장현국 전 위메이드 대표 1심 무죄
- 8진도군, 전남 10대 브랜드 쌀 ‘보배진미쌀’ 품질 유지 위한 농가 교육
- 9남원시, 청년·신혼부부 위한 만원주택 '피움하우스' 입주자 모집
- 10남원시의회, '쌀 가격 안정·지원 조례' 통과…농업인 소득보장 힘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