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형 토큰발행 순기능 '설문조사…"투자 위험 부담 감소"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토큰증권(ST·Security Token)의 제도권 도입시,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가장 기대하는 점은 ‘투자 위험부담 감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체인 기반 여론조사 앱(App) 크라토스는 토큰증권 법제화와 관련해 지난 3월 3~9일까지 7일간 크라토스 코인(CRTS)을 보유한 회원 3,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38.4%에 달하는 1,220명이 토큰 증권(STO) 도입 시 가장 기대되는 점으로 ‘법적 보호로 투자 위험부담 감소’를 꼽았다. 이어 조각투자 통한 자산 포트폴리오 다양화(31.1%), 전반적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19.1%), 거래의 효율성, 투명성 제고(11.4%)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 별로 보면 10대의 응답이 타 연령대와는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나 특이점을 보였다. 우선 20대부터 70대까지는 ‘법적 보호로 투자 위험부담 감소’가 기대된다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나, 10대는 ‘조각투자 통한 자산 포트폴리오 다양화’가 기대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40%로 가장 높았다. 또한 타 연령대에는 ‘전반적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선택한 비율이 모두 10%를 넘은 반면, 10대에서는 3%에 그치며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상자산 시장이 급속도로 커지고 있지만 법적 안전망이 미비해 투자자들의 피해규모도 함께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경찰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1700억원 수준이었던 가상자산 피해액이 2021년 3조1300원으로 4년만에 18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발생한 루나‧테라 사태로 인해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고 업계에 대한 신뢰가 훼손되면서 투자자를 보호할 수 있는 법안 마련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큰 증권이 도입된다면 가상화폐 투자자 입장에서는 가장 먼저 투자 위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법적 안정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다.
한편, 토큰 증권이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유∙무형의 자산에 대한 권리를 디지털화한 것이다. 소유권에 대한 권리(주식)나 채무에 대한 권리(채권) 등 증권성을 지니며 자본시장법상 규제를 받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가상자산과 차이점이 있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重, 아모지 '암모니아 파워팩' 국내 독점 생산
- 2SSG닷컴, 겨울 제철 신선식품 할인 행사 진행
- 3CGV, 윤가은 감독 단편영화 ‘콩나물’ 12일부터 상영
- 4롯데마트, 국산 품종 ‘호풍미 고구마’로 겨울 간식 공략
- 5한국앤컴퍼니그룹, ‘가족과 함께하는 벽화 그리기’ 임직원 봉사활동
- 6현대백화점, 비클린 스페셜 위크 행사 진행
- 7만트럭버스코리아, 동절기 대비 'MAN 서비스데이' 무상 점검 행사
- 8CJ제일제당 ‘백설 10분쿡’, 콘텐츠 영상 1000만뷰 돌파
- 9롯데온, NPB 브랜드 ‘트윈웨일’ 공개…글로우 케어 시장 공략
- 10볼보차코리아, 푸르메재단과 장애 어린이 가족 초청 ‘뽀로로 싱어롱쇼’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