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한국인 위협하는 대장암, 정기적 대장내시경 검사 필요

통계청 발표 자료에 따르면 최근 1년 간 국내에서 발병한 암종 가운데 대장암은 3위를 차지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대장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장암 발병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위험 인자로는 가족력, 노화, 붉은 육류 및 육가공품의 다량 섭취, 비만, 흡연, 음주 등이 알려져 있다. 대장내시경학회는 50세 이상 중장년층 기준으로 4~5년 주기로 1회 대장내시경 검사를 권장하고 있다.
대장암 발병 초기에는 별다른 이상 증세가 나타나지 않는다. 원인 모를 체중 감소, 식욕 부진을 경험하여 대장암 발병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대장암은 유전과 관련 있는 이상 증세로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가족성 용종증 등을 꼽을 수 있다. 유전자 결함에 따른 DNA 복제 과정의 오류, 돌연변이의 대량 축적에 따른 발암 기전 등으로 대장암 발병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족성 용종증은 용종의 유전으로 발생한다. 이를 수술로 제때 제거하지 않으면 대장암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대장암 가족력을 보유하고 있다면 20대부터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해 이상 증세를 미리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대장내시경 검사 후 용종을 발견했다면 유형에 따라 절제술을 시행해야 한다. 용종은 선종성과 염증성, 증식성, 과오종 등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도 선종성을 경계해야 하는데 악성 종양으로 크기가 점차 확대되는 특징을 보이기 때문이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발견이 쉽지 않은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인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의 발견에도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해 장 질환 예방 및 대장암 조기 발견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 권장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윤지환 윤내과의원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인의 뇌졸중 인식 수준은? "증상 잘 알지만 위험 요인은 몰라"
- CT 찍어 '근감소증' 진단… "객관적 평가 가능"
- 메드트로닉의 수술로봇 '휴고', 서울대병원서 첫 활용
- 비브리오패혈증, 올해 첫 환자 발생… "어패류 충분히 익혀 먹어야"
- 국민 10명 중 6명 "담배회사가 폐암 환자 의료비 부담해야"
- 경희대의료원, 오주형 의료원장 취임식 개최
- "우울증 등 정신장애 유전변이, 주관적 행복에도 영향"
- 연세대-서울대 컨소시엄, 자폐 선별 AI 의료기기 개발 착수
- 위암 림프절 절제술, 부담 '뚝'… 주목받는 수술법은?
- 살아있는 기증자의 간이식, 괜찮을까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진도군, 인구감소 지역 기업 경영안정 지원
- 2목포시, 찾아가는 수돗물 무료 수질검사 서비스 운영
- 3고흥군의회, 공공자금 운용 관리 조례안 등 18건 심의·의결
- 4비트레이어·수이, 'BitVM 브릿지’ 수이 네트워크에 연동
- 5완도군, 국토부 치유의 예술 섬 조성 사업 선정
- 6오리온, 국내 감자농가에 1억원 상당 농기계 지원
- 7삼양라운드스퀘어, ‘2025 채용 연계형 인턴십’ 공개 채용
- 8아워홈, 신임 대표에 김태원 한화갤러리아 부사장 선임
- 9신안군, 23~24일 제6회 섬 깡다리축제 개최
- 10바디프랜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팝업 2300명 몰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