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대주단 가동…"의사결정 빨라진다"

[앵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위험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2008년 금융위기 때처럼 PF대주단을 가동했습니다. 신속한 자금지원과 시행사의 손실 부담 조항을 새로 넣은 것이 특징인데요. 김미현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해 9월 말 부동산 위험 노출액은 약 2,700조원. 국내총생산(GDP)의 126%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올해 들어 부동산 PF 부실 경고음이 더 커지면서 금융당국은 오늘(27일) 전 금융권 PF대주단을 가동하며 대응에 나섰습니다.
PF대주단은 채권 금융사들이 사업장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개별 금융사가 아닌 집단으로 의사결정을 해 채무를 처리하는 조직입니다.
이번 대주단 가동으로 PF 사업장에 유동성을 지원해 연쇄 부실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업권은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주현 / 금융위원장
"이번에 'PF 대주단 협약'이 가동되면 채권금융기관들은 만기연장, 채무조정, 신규자금 지원 등 재무구조 개선에 신속하게 합의할 수 있게 됩니다."
이번 PF 협약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재가동한 것으로, 의사결정이 빠르게 이뤄질 수 있도록 조정한 것이 특징입니다.
우선 모든 채권금융기관이나 시행사가 공동관리를 신청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습니다.
또 앞으로 정상화 가능성 있는 사업장에 대해선 대출 잔액 기준으로 전체 채권 금융기관의 3분의 2만 동의하더라도, 대출의 만기를 연장합니다.
최근 PF 구조 변화를 감안해 참여자를 새마을금고, 농협, 수협, 산림조합, 신협 등 상호금융권까지 확대했습니다.
만기 연장 같은 채권 재조정의 경우, 지원을 받는 시행사나 시공사가 분양가를 낮추는 등 손실을 분담해야하는 조항도 마련했습니다.
이외에도 금융감독원은 '부동산PF 총괄지원센터'를 설치해 사업장의 정상화 진행 상황을 관리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취재 신현민 /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은행권 '제로 트러스트' 강조…고강도 보안체계 구축
- 기술 이전·관세 유예…몸집 키우는 K-바이오株
- 957만건 위반에 183兆 과태료?…FIU-업비트 정면 충돌
- IBK기업은행, 집중호우 피해 복구 지원금 3억원 전달
- 애드포러스 "자체 AI 서버 구축…글로벌 시장 공략"
- 노머스 "프로미스나인 첫 월드투어 추가 국내 공연 매진"
- 그린플러스, 삼토리와 토마토 스마트팜 공급 계약
- 우리금융그룹, 집중호우 피해 복구 위해 20억원 기부
- KB금융, 집중호우 피해 복구 위해 성금 20억원 긴급 지원
- 신한투자증권, 2025년 하반기 경영전략회의 성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천시, 445억 규모 노후 상수관망 정비사업 본격 추진
- 2포항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본격 지급…민생경제회복 총력
- 3포항시, 집중호우 대비 긴급대책회의 개최…시민 안전에 총력
- 4안형주 서구의원, "서창천 제방도로 안전대책 마련 촉구"
- 5폭우 내린 광주, 물살 쓰러진 70대 남성...시민들이 구해
- 6계명문화대 슬로우푸드조리과 강명훈 씨, 장학금 500만 원 기부
- 7대구행복진흥원, 이민정책연구원과 업무협약 체결
- 8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암 재발로 최근 재수술
- 9남원시의회, 필수농자재 지원 법적 근거 마련
- 10제95회 남원 춘향제, ‘추천하고 싶은 축제’ 전국 2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