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아파트 매입 비중 증가…서울·경기 35% 돌파

[앵커]
지난 큰폭으로 줄었던 2030세대의 내집 마련 비중이 올해 들어 증가하고 있는데요. 집값이 떨어질 만큼 떨어졌다는 판단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이 작용한걸로 분석됩니다. 서청석 기자입니다.
[기자]
20~39세 청년층,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이 다시 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는 총 3만 8,926건이었습니다. 이 중 청년층 매입 비중은 약 31%로, 1만2,000건대를 기록했습니다.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활발하게 이뤄졌습니다.
서울은 지난해 6월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24.8%까지 떨어졌는데, 올해 1월 30%를 회복한뒤 2월 34.7%, 3월 35.9%를 기록했습니다. 경기도는 3월 36.4%까지 비중이 올랐습니다.
청년층의 아파트 매입 비중은 교통여건이 우수한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서울 마포구와 경기 수원에선 각각 46.7%, 44.1%의 비중을 보였습니다.
또 서울에서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노원, 강서 지역도 청년층 매입 비중이 40~50%에 달했습니다.
[인터뷰]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
"정부 규제가 완화가 됐고, 특례 보금자리론이 나왔고 그러니까 진입이 장벽이 확실히 확연히 낮아졌다…이번 기회에 다시 매입을 해놓겠다는 심리적인 변화가 작용을 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쉽게 말해 대출 문턱이 낮아져, 2030세대가 아파트 매입에 나서고 있다는 겁니다.
정부가 새롭게 출시한 특례보금자리론은 9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최대 5억원까지 연4% 고정금리 대출이 가능하고, 또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에 대해서는 규제지역과 무관하게 LTV를 80%까지 허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청년층의 아파트 매입 비중이 늘어난 2~3월 동안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건수는 총 11만3,000건으로 약 25조6,000억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다만, 급등하고 있는 청년층의 아파트 매입증가가 부채상환 부담으로 이어질수 있어 무리하게 아파트 매입에 나서서는 안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서청석입니다./blu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L, 로봇 시험·인증 인프라 확대…'국산 로봇 경쟁력 강화' 앞장
- 추석 연휴 이틀째 오전 고속도로 곳곳 정체…오후 6시 절정 전망
- 포천이 주목한 한국 여성 리더…네이버 최수연 8위·카카오 정신아 24위
- 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시청률 8.9%…역대 최고 기록
- 美,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조선 시장 판도 변화 예고
- 배 안 타도 ‘도서산간 요금’?…공정위, 13개 쇼핑몰 시정 조치
- 여야, 국회 운영 룰까지 충돌…필리버스터·특검법 잇단 개정 추진
- “올해 건축 착공, 2009년 이후 최저 수준…경기 침체 여파 여전”
- 강경화 주미대사 “실용외교의 중심은 한미동맹…더 굳건히 발전시킬 것”
- 테슬라, 신차 출시 영상 공개에 주가 5% 급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TL, 로봇 시험·인증 인프라 확대…'국산 로봇 경쟁력 강화' 앞장
- 2추석 연휴 이틀째 오전 고속도로 곳곳 정체…오후 6시 절정 전망
- 3포천이 주목한 한국 여성 리더…네이버 최수연 8위·카카오 정신아 24위
- 4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시청률 8.9%…역대 최고 기록
- 5美,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조선 시장 판도 변화 예고
- 6배 안 타도 ‘도서산간 요금’?…공정위, 13개 쇼핑몰 시정 조치
- 7여야, 국회 운영 룰까지 충돌…필리버스터·특검법 잇단 개정 추진
- 8“올해 건축 착공, 2009년 이후 최저 수준…경기 침체 여파 여전”
- 9강경화 주미대사 “실용외교의 중심은 한미동맹…더 굳건히 발전시킬 것”
- 10테슬라, 신차 출시 영상 공개에 주가 5% 급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