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청년SW아카데미 8기 수료…누적 취업자 4,000명 돌파
취업률 84%…청년 취업난·SW 개발자 구인난 해소에 기여
은행권 “SSAFY와 긴밀하게 협업할 것”…‘SSAFY 생태계’ 확장
삼성 CSR 프로그램 간 연계 강화…선순환하는 삼성 CSR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삼성은 16일 서울 강남구 ‘삼성청년SW아카데미(Samsung Software Academy For Youth, SSAFY)’ 서울 캠퍼스에서 ‘SSAFY’ 8기 수료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수료식 현장에는 8기 수료생 대표 100명과 수료생 가족 10명이 참석했으며 전국 5개 캠퍼스에서 수료생 730명이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SSAFY는 삼성이 2018년 발표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방안’의 일환으로 국내 IT 생태계 저변을 확대하고 청년 취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운영하는 CSR 프로그램이다.
SSAFY가 2018년 12월 1기 교육을 시작한 이래 7기까지 누적 취업자는 3,979명으로 취업률은 약 84%에 이른다. 8기 수료생 중 조기 취업이 결정된 인원을 더하면 4년 반 동안 누적 취업자는 4,000명을 넘어섰다.
현재 SSAFY 수료생들은 삼성전자를 비롯한 네이버, 카카오, KT 등 국내외 다수 기업에서 SW 개발자로 취업했다.
또 신한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같은 시중은행과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지에 있는 해외 기업에 채용된 사례를 포함하면 SSAFY 수료생들이 취업한 업체는 총 997개에 이른다.
이날 수료식 영상 메시지를 보내온 정상혁 신한은행장은 “신한은행에도 SSAFY를 거친 직원이 해마다 늘고 있고, ‘SSAFY 출신은 정말 뛰어나다’라는 평가가 많다”며 “앞으로도 SSAFY 특별전형을 통해 미래 인재를 채용하고, SSAFY와 긴밀하게 협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삼성의 사외 벤처 지원 프로그램인 ‘C랩 아웃사이드’를 통해 육성된 스타트업이 475개에 이르면서 SSAFY 수료생들이 이들 스타트업에 취업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SSAFY 1~7기 수료생 중 C랩 아웃사이드 기업 취업자는 현재까지 41명으로, 이들은 인공지능(AI)에 기반한 검색 플랫폼 ‘포티투마루’, 데이터를 분석해 화물을 실시간 추적하는 물류 서비스 플랫폼 ‘코코넛사일로’ 등 C랩 아웃사이드 스타트업 17곳에 취업했다.
한편, 삼성은 내부적으로 SW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데 힘 쓰며 국가 차원의 SW 생태계 저변 확대를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이와 관련 삼성은 ▲SW에 재능을 가진 대학생 발굴·육성을 위한 ‘SW 멤버십’(1991년) ▲대졸 신입 채용 시 ‘SW 직군’ 신설(2011년) ▲인문계 출신 SW 인재 육성과 채용을 위한 ‘SCSA(Samsung Convergence Software Academy, 2013년)’를 운영하고 있다./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전람, 오는 11일 코엑스서 해외 유학·이민 박람회 개최
- 성형·피부과 5년간 20% 급증…소아청소년과 2% 감소
- SNS마켓, 여성·30대 주도…"2년간 3배 성장"
- 전기차 고객 10명 중 6명은 3040…20대 구매 증가
- 4년 반 동안 외화 위·변조 4억 5000만원 적발
- 국내 달러 스테이블코인 보유량 1년새 2배로 증가
- 불법 외환거래, 최근 6년간 13조 2000억원 규모 적발
- APEC 앞둔 경주시 "숙박 바가지요금 엄정 조치"
- 큰 사과, 특상-중하품 가격차 '역대 최대'
- LG전자, 美대기분야 국제숙련도 평가서 4년 연속 최우수 인증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전람, 오는 11일 코엑스서 해외 유학·이민 박람회 개최
- 2임미애 의원 “mz 해양경찰, 5년도 못 버티고 떠나”. . .해양경찰 조직문화 개선 시급
- 3김위상 의원 “천연기념물까지 쾅! ‘버드스트라이크’ 5년 새 2배 늘어”
- 4김승수 의원 “세계는 한복에 주목…정부 지원은 여전히 부족”
- 5차규근 의원 “최근 3년새 SNS 마켓업 수입금액 2배 이상 증가,30대 가장 많아”
- 6차규근 의원 “게임 아이템 거래 시장, 5년간 3조원 이상 거래됐다”
- 7강대식 의원 "가짜 원산지 축산물ㆍ중국 김치...군 급식 이대로 괜찮나"
- 8대구대-라온엔터테인먼트, 게임 산업 발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9성형·피부과 5년간 20% 급증…소아청소년과 2% 감소
- 10SNS마켓, 여성·30대 주도…"2년간 3배 성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