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지는 대작들…관객보다 더 설렌 극장가

[앵커]
극장가가 엔데믹 후 첫 여름 성수기를 맞았습니다. 범죄도시 시리즈의 연이은 흥행에 이어 막대한 자본이 투입된 기대작들이 줄줄이 개봉을 앞두며 침체됐던 영화업계가 다시금 활기를 띄기 시작하는 모습입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흥행작의 잇따른 출시에 영화관을 찾는 관객들이 늘며 여름 성수기를 앞둔 극장가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영화산업의 오랜 부진을 깬 건 마동석의 주먹이었습니다.
‘범죄도시 3’는 개봉 32일만에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범죄도시 2’와 함께 ‘쌍천만 영화’에 등극했고, 개봉 39일만인 지난 8일, 한국 시리즈 영화 최초로 시리즈 통합 3,000만 관객을 동원하는 역사를 썼습니다.
‘범죄도시 3’ 개봉 전 마지막 1,000만 관객 영화 역시 지난해 개봉한 ‘범죄도시 2’였습니다.
디즈니·픽사의 애니메이션 영화 ‘엘리멘탈’의 역주행도 고무적입니다.
엘리멘탈은 개봉 초반 ‘범죄도시 3’의 흥행에 밀려 다소 고전했지만, 관객들의 입소문을 타며 어제(11일) 351만 관객을 돌파해 ‘인사이드 아웃’에 이어 역대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 흥행 2위에 올랐습니다.
여기에 더해 오늘(12일) 개봉하는 ‘미션 임파서블 7’의 예매 관객 수 역시 30만명을 넘기며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영화관은 코로나 엔데믹 전환 이후에도 매출의 회복이 유독 더뎠습니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매달 공개하는 ‘한국 영화산업 결산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과 5월 전체 관객 수는 코로나 이전인 2017~2019년 동기 평균의 54.2%, 67%를 기록했습니다.
이에 멀티플렉스 3사는 클라이밍짐·골프장·전시공간 등을 오픈하며 공간 사업 다각화를 통한 관람객 유치에 나섰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하재근 / 대중문화평론가
“극장이 관객들을 최대한 많이 흡인하려면 결국 작품이 뒷받침이 돼야 되는 것이고 그래서 OTT로는 만족할 수 없는 볼거리나 규모가 큰 그런 대형 작품들이 잇따라 개봉을 해서 그걸 통해서 관객들이 극장에 가는 생활 패턴이 다시 살아나기를…”
올 여름 시장에는 ‘밀수’와 더 문' 등 한국영화 대작들도 줄줄이 대기 중입니다.
코로나 이후 관람객들이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시간이 오래 지난 만큼, 기대작들이 풍부한 올 여름이 극장의 본격적인 회복기가 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호진입니다. /hojinlee97@sedaily.com
[영상취재 강민우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엑스게이트·이노뎁, 영상관제 분야 양자 보안기술 협력 MOU
- 현대차 노조, 7년만 파업…기아 임단협도 평행선
- 석화 위기 해법찾나…정유·석화 수직계열화 ‘시동’
- ‘백종원 리스크’ 더본코리아…소스 사업으로 위기 돌파
- LG엔솔, 中 제치고 벤츠에 배터리 공급…15兆 추산
- “실적부진에 사망사고”…포스코그룹, 돌파구 찾나
- 은마아파트, 46년만 재건축…“매매 물건 실종”
- 그린몬스터, 지방 흡수 억제 돕는 ‘디톡 알파 CD’ 선봬
- 오토모빌리 람보르기니, 부산 전시장 오픈…“韓서 사업 확장”
- GS건설 허윤홍 대표, 근로자 사망 사고 공식 사과…“안전 전면 재점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 '포도의 도시' 향해 첫걸음…흥부골 포도축제 성황
- 2장수서 4~5세기 마한 취락지 확인…주거지 63기·토기 대거 출토
- 3임실N치즈축제, 5일간의 가을 대향연…치즈·꽃·체험 풍성
- 4대구대, 탄자니아서 장애아동 인지재활 국제현장실습 펼쳐
- 5경주시, 금리단길 창업 지원사업 본격화…빈 점포 활용한 구도심 활력 기대
- 6한국수력원자력, 세르비아 에너지광업부와 원자력·수소 협력 나선다
- 7오경준 대구경북병무청장, 후계농업민 복무현장 방문
- 8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제230호 착한일터’ 가입
- 9대구문화예술진흥원, 중화권 관광객 대상 모바일 간편결제 활성화 본격 추진
- 10대구행복진흥원, 저소득층 임산부·장애인에 교통비 3500만 원 지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