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동서 큰 성과…‘해외 건설 수주 43조’ 달성
해외 건설 수주 333억 달러…전년比 23억 달러↑
수주 국가 1위는 미국…실적 집계이래 처음
지역별로는 중동이 1위…사우디 대형 계약 영향
현대건설 중동서 ‘잭팟’…GS와 대우도 조단위 수주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앵커]
건설경기 불황 속에서도 국내 기업의 해외 건설 수주는 늘고 있습니다. 수주액은 물론 수주 건수도 2년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건데요. 국내 건설사들이 전투적으로 해외 사업에 뛰어들어 미국과 중동에서 큰 성과를 낸 결과입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세계적 경기 둔화와 이스라엘-하마스 무장 충돌 등의 악재 속에서도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 건설 수주 성과를 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8일) 2023 국내 건설 수주실적이 333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43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23억 달러 증가한 수치로, 지난 2022년 40조 6,000억 원을 수주한 것에 이어 2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한 겁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이 약 13조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사우디아라비아 약 12조 원, 대만이 약 1조 원을 차지했습니다.
미국이 1위를 차지한 것은 실적 집계 이래 처음입니다.
그간 미국 등 선진국 시장은 진입장벽이 높아 한국 기업들의 진출이 저조했는데, 국내 제조업체의 미국 내 생산공장 건설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역별로는 중동(약 15조 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간 ‘셔틀 외교’ 과정에서 공을 들인 6조 원 규모의 ‘사우디 아미랄 석유화학 플랜트’와 자푸라 가스 플랜트 프로젝트가 중동 수주 회복세를 이끈 영향입니다.
중동에 이어 북미·태평양(약 13조 5,000억 원)과 아시아(약 8조 9,000억 원) 순으로 수주 금액이 컸습니다.
기업별로는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이 중동에서 9조8,000억 원 규모를 합작 수주한 것이 가장 눈에 띕니다.
GS건설과 대우건설 또한 지난해 3분기까지 각각 1조 9,000억, 2조 4,000억 달하는 건설사업을 수주했습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해외 건설 기업인들의 노력 덕분에 해외 건설 수주가 지속해서 증가할 수 있었다”며 “올해도 지역별·프로젝트별 맞춤형 수주 전략을 수립해 기업들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CJ 장남’ 이선호, 지주사 복귀…승계·합병 속도 내나
- “켜자마자 광고부터?”…카카오톡 정체성 잃나
- 현대제철 비정규직 1892명, 원청 집단고소
- 현대모비스, ‘車반도체·로보틱스’ 미래 성장 동력 육성
- ‘2025 건설의날’ 기념식 개최…“중대재해 근절” 한 뜻
- “사람처럼 일해요”…조선·철강업계 로봇 투입 ‘속속’
- 두산, 기후산업국제박람회서 AI 기반 에너지 설루션 선보여
- 낙동강 주민대책위·민변, 장형진 영풍 고문 겨냥 “환경법 위반행위 전반 사실상 주도”
- DL이앤씨, ‘e편한세상 삼천포 오션프라임’ 분양 중
- SKT, 해킹 징계 임박…역대 최대 과징금 ‘촉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우주항공 도시로”…경남도, 도민상생 토크 개최
- 2‘CJ 장남’ 이선호, 지주사 복귀…승계·합병 속도 내나
- 3“켜자마자 광고부터?”…카카오톡 정체성 잃나
- 4현대제철 비정규직 1892명, 원청 집단고소
- 5현대모비스, ‘車반도체·로보틱스’ 미래 성장 동력 육성
- 6‘2025 건설의날’ 기념식 개최…“중대재해 근절” 한 뜻
- 7주가로 번진 노란봉투법…로봇株 웃고 건설株 울고
- 8“사람처럼 일해요”…조선·철강업계 로봇 투입 ‘속속’
- 9업비트는 법인, 빗썸은 개인…고객 유치전 '치열'
- 10경기도-평택시, '기후 위기 대응 위한 평생학습포럼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