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1월 美판매 부진…친환경차·제네시스는 '선전'
합산판매 작년 동월比 4.6%↓…18개월만에 전년 동월비 감소
전체 판매량 감소에도 친환경차 판매는 8.7% 증가

[서울경제TV=안자은 인턴기자]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작년에 비해 부진한 판매 실적을 올렸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1월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의 미국 판매량이 작년 동월 대비 4.6% 감소한 10만2,902대라고 2일 밝혔다.
현대차·기아의 합계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은 2022년 7월 이후 18개월 만이다.
다만 1월에 10만대 이상을 판매한 것은 지난해 이어 두 번째다.
이에 판매량이 감소한 건 작년 역대 1월 최다 판매에 따른 기저효과라고 현대차·기아는 전했다.
업체별로는 현대차가 7.3% 줄어든 5만1,812대를, 기아가 1.7% 감소한 5만1,090대를 미국 시장에 팔았다.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만 유일하게 판매량이 4,269대로 9.3% 늘었다.
전체 판매량 감소에도 친환경차는 상승세를 이어갔다.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미국에서 총 1만7,916대의 친환경차를 팔았는데 이는 작년 동월보다 8.7% 늘어난 것이다. 전체 판매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17.4%로, 전년 동기 대비 2.1%p 상승했다.
업체별로 보면 현대차는 6.3%가 늘어난 9,349대, 기아도 11.5% 증가한 8,567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했다.
특히 전기차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수요 감소의 여파에도 총 6,627대(현대차 3,170대·기아 3,457대)가 팔리며 51.1%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1월 판매되지 않았던 기아 EV9과 현대차 아이오닉6 등이 추가되며 소비자 선택지를 넓힌 덕분이다.
이 밖에도 현대차 투싼 HEV(3,001대), 기아 스포티지 HEV(2,604대) 등 하이브리드 모델들도 선전했다.
업체별로 전체 베스트셀링 모델을 살펴보면 현대차는 투싼이 1만1,116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이어 싼타페(7,638대), 아반떼(6,900대) 등의 순이었다.
지난달에 가장 많이 팔린 기아 모델은 9,994대의 스포티지였고, 이어 K3 8,977대, 텔루라이드 6,916대 등의 순이었다.
한편, 도요타(23.3%), 혼다(10.3%), 마쓰다(31.8%), 스바루(0.3%) 등 현재까지 미국 실적이 공개된 다른 완성차 업체들은 현대차와 기아에 비해 양호한 실적을 올렸다.
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1월은 도전적인 경제 환경과 금리로 인해 어려운 소매 환경이 조성된 힘든 달이었다"며 "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판매가 작년 대비 큰 성과를 냈고, '올 뉴 싼타페'가 딜러십 매장에 입고되기 시작하는 등 밝은 면도 있었다"고 말했다. /ahnje1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中에 추월당한 韓 제약바이오…정부 R&D 지원 시급
- 도시정비 수주 경쟁 치열…건설사, 실적 개선 돌파구
- 출범·매각·통합 잇따라…LCC 시장, 대격변 본격화
- 상반된 2분기 실적 전망에…희비 엇갈린 '네카오'
- K조선, 선박 발주량 감소…'마스가' 로 반등 노리나
- 여 "노란봉투법, 8월 임시국회서"…벼랑 끝 내몰린 기업들
- 명품감정교육, 부업 넘어 ‘1인 창업’으로 이어진다
- 법원 “영풍 석포제련소 무분별한 폐기물 매립 지하수·하천 오염 가능성”
- 중기중앙회 "日 정부, '중소기업 포럼' 전폭 지원"
- 중기중앙회, 기업투자 분야 총괄 전문가 채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준희 아이넷방송 회장, 생활환경·산림 감시단으로 위촉
- 2中에 추월당한 韓 제약바이오…정부 R&D 지원 시급
- 3도시정비 수주 경쟁 치열…건설사, 실적 개선 돌파구
- 4출범·매각·통합 잇따라…LCC 시장, 대격변 본격화
- 5상반된 2분기 실적 전망에…희비 엇갈린 '네카오'
- 6K조선, 선박 발주량 감소…'마스가' 로 반등 노리나
- 7"오천피 의지 있나"…대주주 새 기준에 증권가 성토
- 8경평 하락에 노사 갈등까지...뒤숭숭한 기업銀
- 9여신협회장 임기 종료 임박…분주해진 물밑 경쟁
- 10여 "노란봉투법, 8월 임시국회서"…벼랑 끝 내몰린 기업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