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리테일, 한부모·조손가정에 설 선물 전달
200가구에 총 3,000만 원 규모 설날키트
밀알복지재단엔 1,500만 원 어치 김치 기부

[서울경제TV=황혜윤 인턴기자] GS리테일은 설 명절을 앞두고 한부모 및 조손가정 200가구에 3,000만 원 상당의 설날키트와 밀알복지재단에 1,500만 원 상당의 김치를 기부했다고 이달 8일 밝혔다.
먼저 GS리테일은 복지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기아대책’과 함께 이달 1일 한부모 및 조손가정 200가구에 설날키트를 전달했다.
설날키트는 GS리테일에서 사회 공헌활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해피데이 나눔키트’ 일환으로, 명절 및 기념일에 소외감을 느낄 수 있는 사회 취약계층을 위해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떡국 떡, 곰탕, 햇반, 약과, 식혜 등 설날에 주로 먹는 상품 20여 종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 6일에는 밀알복지재단에 1,500만 원 상당의 김치를 기부했다. 이번 기부는 지난해 12월 편의점 GS25에서 진행한 ‘메리 밀(Merry Meal)’ 캠페인에서 시작됐다. 메리 밀 캠페인은 고객이 혜자도시락을 구매하면 GS25가 1,000원씩 기부금을 모은 행사다.
GS25는 ‘예소담 김치(5kg)’ 483박스를 기부했는데, GS25의 협력사인 윤병학 예소담 대표가 이번 캠페인 취지에 공감하며 자체적으로 200박스를 추가 기부해 총 683박스가 전달됐다. 기부된 물품은 밀알복지재단을 통해 도봉노인종합복지관, 생명의빛홈타운 이용 어르신들에게 사용될 예정이다.
GS리테일은 설 이후에도 기부 릴레이를 지속할 계획이다. 이달 21일에는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청운보육원 봉사 활동과 함께 물품 후원을 진행한다. 또 GS리테일은 ‘행복한 나눔’에 정기적으로 상품을 기부하고 있는데, 행복한 나눔은 이를 판매해 얻은 수익금 일부를 소외계층을 위해 지원하고 있다. 양사는 올해 첫 스타트로 보육원에 필요한 물품을 후원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에는 푸드뱅크(기부 식품 및 생활용품을 결식 위기에 놓인 사람 또는 시설단체에 직접 전달), 행복한 나눔(국내외 소외계층의 자립을 돕는 사회적기업), 굿윌스토어(기업의 재고 상품이나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는 의류 등을 기부받아 판매한 수익금으로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를 통해 약 20억 원 이상의 물품 기부를 진행하기도 했다.
한편 GS리테일은 사회 취약계층을 돕는 활동 외에도 재난, 재해 현장에 구호물품을 전달하는 등 사회공헌 활동도 진행해왔다.
김시연 GS리테일 사회공헌파트장은 “GS리테일은 봉사활동, 물품 기부 등 매년 나눔 문화를 실천하며 사회적 책임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올해도 지역사회에서 따뜻함이 널리 퍼질 수 있도록 다양한 ESG 활동들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mohye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카드 사용액 늘었다면…‘상생페이백’ 챙겨요
- 해외시장 넓히는 오리온…제2 초코파이도 나올까
- ‘1.8조 전자전기’ 수주전…KAI·한화 vs LIG·대한항공 '대격돌'
- 美시장 환율·관세 변수에도…"현대차 비교 우위"
- [이슈플러스] 원전 1기 수출 때 1조 지급…한수원, ‘굴욕 합의’ 후폭풍
- “NCC 최대 25% 감축”…석화, 구조조정 신호탄
- ‘월드메르디앙 더 퍼스트’ 장기민간임대주택 주목…1차 완료 후 2차 모집중
- 청담해리슨송도병원, 첨단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도입
- 더셀랩 ‘펜타스템’, 롯데홈쇼핑 방송으로 소비자와 재회
- 마이크로 킥보드, ‘2025 815런’ 후원으로 나눔 가치 전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반도체 벨트 힘받아…TOK첨단재료 평택공장 착공
- 2“주철현 의원, 광폭 행보…전남도지사 출마 밑그림 잘 그리고 있다”
- 3카드 사용액 늘었다면…‘상생페이백’ 챙겨요
- 4업비트 효자 둔 두나무…네이버와 빅딜 '촉각'
- 5대체거래소, ETF 도입 박차…가격 급등락 대책은
- 6해외시장 넓히는 오리온…제2 초코파이도 나올까
- 7‘1.8조 전자전기’ 수주전…KAI·한화 vs LIG·대한항공 '대격돌'
- 8부산銀 연체율 경고등…건전성 개선 과제
- 9美시장 환율·관세 변수에도…"현대차 비교 우위"
- 10원전 1기 수출 때 1조 지급…한수원, ‘굴욕 합의’ 후폭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