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퍼드 CCS 서밋' 10일 개최…"탄소 포집 미래 논의"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탄소 포집 분야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세계 정부 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이 서울에 모인다.
삼성E&A는 오는 10일 서울 호텔신라에서 글로벌 CCS의 성공과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셰퍼드 CCS 서밋'을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CCS 관련 글로벌기업들과 한국, 말레이시아의 정부기관 등 총 60여 개 기관, 200여 명이 참석한다.
이번 행사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위한 핵심사업 중 하나인 CCS의 성공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CCS는 Carbon Capture & Storage(탄소 포집·저장)의 약자로, 발생된 탄소를 포집해 안정적인 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제조업이 주력산업인 우리나라 산업구조와 탄소배출이 불가피한 일부산업들을 감안할 때, NDC를 위해서는 CCS는 필수불가결한 산업이다. 정부도 이러한 점을 고려해 2030년까지 CCS를 통해 연 480만 톤의 CO2 감축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이번 서밋은 기조연설과 패널토론, 정부연설 등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통해 CCS의 역할과 현황, 과제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할 예정이다. 기조연설에는 삼성E&A와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나스, 아스펜텍 등이 나서 글로벌 CCS 시장과 전망, 실제 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한다. 패널토론을 통해서는 국내 산업계 탈탄소화에 있어서의 CCS의 역할과 과제, 기술동향과 트렌드에 대해서 공유하고 토론할 예정이다. 또,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정부 연설을 통해 양국의 CCS 정책과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글로벌 CCS 선도사업인 셰퍼드 CCS 프로젝트에 대한 발표가 기대된다. 이 프로젝트는 국내외 기업들이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CCS 사업으로, 한국에서 탄소를 포집, 말레이시아로 이송, 저장하는 프로젝트다. 탄소저장공간과 지리적 접근성 등 측면에서 국가간 CCS의 최적의 대안으로 평가받는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되는 사업인 데다, 경제성 확보를 위해 한국-말레이시아 양국에 허브클러스터를 동시 개발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받아 왔다. 현재 타당성조사를 마치고 개념설계를 앞두고 있으며, 국내 허브와 현지 저장소 후보군도 잠정 확정했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가간 이송을 위한 양국 정부의 본격적인 대화 착수도 기대되고 있다.
셰퍼드 CCS 서밋 관계자는 "국가간 CCS 협력을 위해 글로벌 기업과 정부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뜻 깊은 행사로, 건설적이고 실제적인 해답을 찾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진행 중인 셰퍼드 CCS 프로젝트 또한 성공적 사업화를 통해 글로벌 CCS 프로젝트의 모범사례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두천시-신한대, 지역 혁신 맞손
- 2장수군, ‘2025 풍년기원 영농발대식’ 성황리 개최
- 3장수군, 찾아가는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 교육 추진
- 4순창군, 100억 규모 ‘농촌공간정비사업’ 최종 선정
- 5순창군 보건의료원, 온기곤 신임 원장 취임…"지역사회 건강 증진 힘쓸 것"
- 6순창군, 제2회 청소년어울림마당 'YF'…청소년 공연팀 모집
- 7순창군의회, 2024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6명 위촉
- 8남원보호관찰소 보호관찰위원 협의회 새 출발…양장욱 회장 취임
- 9소호은행 컨소 “소상공인 위한 은행 되겠다”
- 10코오롱글로벌·동부·금호건설 적자 전환…위기설 ‘솔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