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시장 10년 후 1,000조"…은행권 경쟁 치열
올 2분기 퇴직연금 시장 400조 육박…10년 후 1,000조 육박
퇴직연금 제도 시행 20년… 연평균 약 9.4% 성장률

[앵커]
퇴직연금 제도가 시행된 지 올해로 20년이 됩니다. 국내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10년 후 1,000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은행권 퇴직연금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 기준 올해 2분기 국내 퇴직연금 시장은 394조2,832억원으로 집계됩니다.
올해로 시행 20년을 맞는 퇴직연금 제도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006년 1조원도 못 미쳤던 퇴직연금 시장은 2016년 147조원으로 늘었고, 2019년 200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이후 2020년 256조원, 2022년 336조원, 지난해 382조4,000억원으로 급증했습니다.
올해 2분기에는 394조원을 넘어서며 400조원에 육박합니다.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연평균 약 9.4% 성장률을 보이면서, 10년 후 1,000조원에 육박하는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은행권에서는 퇴직연금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올해 2분기 기준 160조원이 넘습니다.
신한은행이 42조2,031억원을 넘어서며 선두를 달리고 있고, 국민은행 38조9,360억원, 하나은행 36조1,297억원, 우리은행 24조6,650억원, 농협은행 21조7,920억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은행권에서는 퇴직연금 시장 성장세에 맞춰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내놓고 있습니다.
신한은행은 고액 자산가 중심 대면상담이 가능한 퇴직연금 상담 플라자를 서울과 부산 각각 1곳씩 개설했고, 올해 33만명 고객 상담을 목표로 내세웠습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대면상담이 가능한 연금 더드림 라운지를 전국 5곳에 운영 중인데, 올해 추가 개설 계획을 내세웠습니다.
국민은행은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손잡고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 출시를 준비 중인데, 가입자별 맞춤형 운용 전략 제공이 핵심입니다.
금융권에서는 고령화 사회와 맞물리며, 은행들의 퇴직연금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한금융그룹, MSCI ESG 평가 2년 연속 AAA등급 획득
- 우리銀, 본점 딜링룸 새단장...글로벌 금융시장 대응 역량 강화
- KB국민은행, 2만여명 소상공인 대상 130억원 금융지원
- 수출입銀, “3분기 수출 전년比 3~4% 감소”전망
- 포커스에이아이-페이온플러스, '소프트POS' 공동 사업 협약
- [인사] 교보증권
- 유안타증권, '네이버페이 증권 간편주문 서비스' 오픈
- 대한광통신, '차세대 레이저 기반 무기체계' 위한 연구개발 수행
- 한화운용 'PLUS 한화그룹주 ETF', 순자산 1800억원 돌파
- 드림인사이트, 글로벌 마케팅 컨퍼런스 'G-AMC 2025' 9월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신한금융그룹, MSCI ESG 평가 2년 연속 AAA등급 획득
- 2양산시, '양산몰' 8월 여름맞이 할인쿠폰 이벤트 진행
- 3우리銀, 본점 딜링룸 새단장...글로벌 금융시장 대응 역량 강화
- 4KB국민은행, 2만여명 소상공인 대상 130억원 금융지원
- 5구글 'AI 스타트업 스쿨' 6주간 부산서 개최…AI 기반 창업 교육
- 6GTX-C · 7호선 연장 수혜…서울 접근성 높아진 양주, 신흥 주거지로 급부상
- 7SKT 에이닷, 최신 AI 기법 적용한 신규 버전 출시
- 8해탄, '쌀 기부'…지역사회와 상생하는 따뜻한 출발
- 9KT, 매니지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보안기능확인서 획득
- 10세븐일레븐 뉴웨이브 모델, 공모전 ‘K디자인어워드’ 위너 수상
댓글
(0)